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김연수 지음 / 자음과모음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중학생이던 1983년, 일요일 아침마다 MBC에서 <천년여왕>이라는 일본 만화영화 시리즈를 방영했다. 그 만화 영화는 1999년 9월 9일 9시 9분 9초에 1000년을 주기로 한 유성이 지구와 충돌해 인류가 멸망한다는 종말론을 배경으로 깔고 있었다. 그때 우리는 이런 생각을 했다. 1999년이면 우리가 서른 살이 되는 해이니, 그 정도면 인생을 다 산것인데 지구가 멸망한들 뭐가 아쉬울까? <천년여왕>에서 말한 종말의 시간인 1999년을 넘기고 보니, 결코 인생이 쉽게 끝나는 건 아니었다. 그렇긴 해도 서른이 되면서 뜨겁고 환하던 낮의 인생은 끝이 난 듯한 기분은 들었다. 그다음에는 어둡고 서늘한, 말하자면 밤의 인생이 시작됐다. 낮과 밤은 이토록 다른데 왜 이 둘을 한데 묶어서 하루라고 말하는지. 마찬가지로 서른 이전과 서른 이후는 너무도 다른데도 우리는 그걸 하나의 인생이라고 부른다.

낮의 인생과 밤의 인생, 그 사이의 어느 지점에서 우리는 저마다 오래전부터 그렇게 하기로 예정된 사람들처럼 누군가를 만나고 사랑이라는 걸 한다. 그중에서 누군가와는 영영 이별하고, 또 누군가와는 평생 같이 살기도 한다. 그러는동안 우리가 연애담을 늘어놓던 카페의 구석 자리는 우리 다음에 태어난 여자들의 차지가 됐고, 대신에 우리는 깊은 밤, 전화를 붙들고 앉아서 인생에서 일어나는 갖가지 자질구레한 일들을 떠들어댔다. 시어머니의 잔소리에 대해, 무책임하고 이기적인 남편에 대해, 뱃살처럼 내 인생에 들러붙은 아이에 대해 우리는 불평을 늘어놓고 또 동의를 구했다. 하지만 삼십 대의 중반을 넘기면서 그런 나날들마저도 지나가고 전화벨도 더 이상 울리지 않으면서 하나의 인생이 서서히 빛을 잃어갔다. 그제야 우리는 깨달았다. 서쪽으로 오렌지 빛 하늘이 잠기는 동시에 반대편에서 역청 빛 물결이 밀려드는 어스름의 풍경이 우리의 마음을 사로잡는 까닭은 그게 종말의 풍경을 닮았기 때문이라는 것을. 날마다 하나의 낮이 종말을 고한다. 밤은 그 뒤에도 살아 남은 사람들의 공간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Narcolepsy 2014-06-12 19: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012년 10월
 
우체국
찰스 부코스키 지음, 박현주 옮김 / 열린책들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그래서 할아버지는 조이스에게 큰 액수의 수표를 써주었고 우리는 결국 이렇게 됐다. 언덕 위에 작은 집을 하나 빌렸고 조이스는 멍청하기 짝이 없는 도덕주의를 주장했다.
「우리 둘 다 직업을 얻어야 해요.」 조이스가 말했다. 「아버지랑 할아버지에게 당신이 돈을 노린 게 아니라는 걸 보여주려면 우리가 자립할 수 있다는 걸 증명해야 해요.」
「자기, 그건 초등학생 같은 생각이야. 어떤 바보 멍청이라도 구걸하면 일은 얻을 수 있어. 일하지 않고 사는 사람이 지혜로운 거지. 세상에서는 이런 사람을 요령 있다고 하지. 나는 요령 있는 훌륭한 백수가 되고 싶어.」
조이스는 되고 싶어 하지 않았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Narcolepsy 2014-06-12 18: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013년 2월
 
우리가 좋아했던 것 작가정신 일본소설 시리즈 12
미야모토 테루 지음, 양억관 옮김 / 작가정신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남을 위한 배려나 느낌에 둔감한 시대야. 대학병원에 오는 환자들 중에 마음의 병을 앓는 환자들이 얼마나 많은지 몰라. 나, 그런 사람들을 보면서 이 시대 자체가 인간의 마음에 둔감하다는 느낌을 받았어." 


 아아, 아이코가 갑자기 아이코다워졌다는 생각을 하며 나도 유리창에 비치는 빗방울과 그 소리에 녹아 들어갔다. 


"우리는 마음에 너무 민감하면 사회적인 방해꾼으로 취급받는 시대에 살고 있어. 마음의 느낌에 신경을 쓰는 사람은 이 사회의 둔감증을 견딜 수 없어.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자신만의 세계에 틀어박히고 말아. 그러지 않고서는 자신을 지킬 수 없게 됐어." 


 "마음의 느낌? 무슨 느낌?" 


 아이코가 물었다. 


 "세상의 모든 느낌. 비가 내릴 것 같은 느낌, 내 몸 어느 작은 부분에 미세하게 무언가가 와 닿는 느낌, 슬픈 일이 일어날 것 같은 느낌, 부는 바람의 방향이 바뀔 것 같은 느낌, 보이지 않는 것이 존재하는 것 같은 느낌, 천장에서 벌레들끼리 싸우고 있는 것 같은 느낌, 흙 속에서 생명체가 태어나는 것 같은 느낌, 그 모든 느낌. 그런 것들을 알아차리게 해줄 매뉴얼 같은 건 없어. 가르칠 수도 없고 배울 수도 없어.." 


 "낚시의 명인은 아마도 그런 느낌에 누구보다 민감할거야. 같은 배 위에서 낚싯줄을 드리우지만 다른 낚시꾼들보다 더 많은 고기를 잡아. 그건 논리의 세계를 벗어나 있어. 내 사촌동생은 다른 건 젬병인데도 낚시를 잘해. 과묵하고, 낯을 가리고, 고등학교도 중퇴했어. 그런데 낚시만 했다 하면 그냥 명인이야. 낚시줄에 와 닿는 미세한 힘이나, 늘어뜨린 낚싯줄이 지금 몇 십 미터쯤에 이르렀는지, 그걸 직감으로 알아. 정말 부드러운 눈을 가졌고 마음 씀씀이가 따뜻한 아이야, 난 그 사촌동생을 정말 좋아해." 


 아이코는 베개에 오른 볼을 대고 어둠 속에서 나를 응시했다. 


 "요시, 지금 뭐 하고 싶어?" 


"산이 있고, 바다가 있고, 소리 지르지 않는 사람이 사는 곳으로 여행을 떠나고 싶어. 대나무 숲이 보이는 여관에 머물면서 따스한 바람에 흔들리는 그 대숲을 무심히 바라보고 싶어."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Narcolepsy 2014-06-11 22: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011년 7월
 
리틀 포레스트 1 세미콜론 코믹스
이가라시 다이스케 지음, 김희정 옮김 / 세미콜론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 말야, 왜 코모리로 되돌아왔어?
난... 네가 말한 '학교'는 여길 빠져나가기 위한 구실이라고 생각했어."

"물론 그럴 작정이었지. 그래서 그쪽에서 취직도 했었고.
왠지 코모리와 거기서 하는 말은 달라서 말야.
사투리라든가 그런 게 아니라
자기 자신의 몸으로 말야.
직접 체험해 보고, 그 중에서 자신이 느낀 것과 생각한 것.
자신의 책임이라고 말할 수 있는 건 그것뿐이잖아?
그런 것들을 많이 갖고 있는 사람을 존경해. 신용도 하고.
아무것도 한 일이 없는 주제에 뭐든 아는 척이나 하는,
타인이 만든 것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옮기기만 하는 인간일수록 잘난 척만 하지.
천박한 인간의 멍청한 말을 듣는 게 이젠 정말 지긋지긋해졌어.

난 말야,
타인에게 죽여 달라고 하고는 죽이는 법에 불평하는 그런 인생 보내기가 싫어졌어.

여길 나가고 나서야 비로소 코모리 사람들... 그리고 부모님도 존경할 수 있게 됐어.
내용이 있는 말을 할 수 있는, 그런 삶을 살아오셨구나라고."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Narcolepsy 2014-06-11 16: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008년 10월
 
나무는 간다 창비시선 366
이영광 지음 / 창비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어가는 짐승처럼 사나운` 마음에 한 편 씩 복용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