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내기 블루스
김종광 지음 / 창비 / 200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문구의 뒤를 잇는 스타일리스트. 내가 처음 김종광의 이름을 들었을 때 그의 이름 앞에 붙어있던 수식어이다. 다들 고만고만한 문장을 가지고 있는, 이렇다 할 특색이 없는 문장을 구사하는 요즈음 소설가를 본다면 김종광은 그나마 개중에서 스타일리스트라고 불릴 만한 문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문구의 문장이 투박한 충청도 사투리로 버무려진 문장이라면 김종광의 문장은 좀 더 쉽게 읽히는 충청도 사투리를 구사한다는 것이다. 덧붙이자면 충청도 사투리를 구사하되 알아먹을 수 있는 사투리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농촌에서는 축제가 사라진지 오래다. 산업화로 인한 농촌의 와해와 함께 젊은 사람들은 농촌을 떠나 도회지로 속속 빠져나가기 시작한지도 오랜 시간이 흘렀다. 농촌은 도시에 비해 상대적인 낙후와 경제적인 빈곤, 그들만의 전통과 문화의 상실에 직면해 있다. 남아 있는 젊은 층은 결혼을 하지 못하고 있어서 다음 세대가 태어나지 않아 농촌에는 '늙은 부부끼리 바르작바르작 농사짓는 집'이 허다하다.

김종광은 근간에 보기 드문 농촌 소설 작가이기도 하지만 이전, 김유정이 농촌의 모습을 풍자와 해학으로 풀어놓듯이 능청스런 의뭉함으로 농촌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농촌 사람들의 극심한 생활고보다 농기계의 고장이나 젊은 도시 여성이 농촌 생활에 적응해 나가는 모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춘이 서해를 데리고 돌아온 것은 더 이상 세대가 이어지지 않는 농촌에 마치 축제와도 같은 사건이다. 이 축제는 서해와 대춘의 정사를 지나 서해가 오기로 버텨 낸 모내기를 끝내고 대춘과 추는 블루스에서 절정을 맞는다. 막걸리 몇잔을 걸치고 불콰해진 얼굴을 하고 서해의 노래에 어깨를 들썩이는 노부부의 모습에서 농촌은 새로운 활기를 찾을 수 있을 거라고 작가는 말하고 있다.

함께 더불어 가는 사회. 이 말이 언제부터인지 낯선 말이 되었다. 굳이 타인의 도움이 아니더라도 혼자서 무슨 일이든 쉽게 할 수 있는 것이 현대 사회이다. 이런 사회에서 작가는 공동체의 약화를 문제제기 하고 있다. 도시에서 나서 도시에서 자란 나 같은 사람은 죽었다 깨도 알 수 없는, 따라가지 못할 감수성을 가지고 있는 작가,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