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의 집 문학과지성 시인선 78
최승자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8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억의 집>은 모두 3부로 이루어져 있다. 1부에서 시인은 한동안 쓰지 못한 시를 다시 쓰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고통을 토로하고 있다. 고통의 잔치가 끝나 시인이 써놓은 시는 살아남은 고통의 기억들이고 하늘의 별 혹은 지상의 똥과 같은 슬픔이다('돌아와 나는 詩를 쓰고'). 글을 쓰려면 고통을 눈앞에 끄집어내어 되새김질해야 한다는 한 선배의 말이 생각났다. 그처럼 시인은 그 고통의 기억들을 한데 모아 두었다. 그 집은 불안한 바람에 삐걱이고 슬픔의 세간들로 가득 찬 곳이다. 그 속에서 시인은 갈라지는 벽을 보며 벽이 꾸는 꿈을 함께 보고 있다. 죽을 듯이 아프지만 그 고통 속에서 시인은 소망, 희망을 꺼내놓고 있다(<기억의 집>).

하지만 그 희망은 완전히 자유로운 것이 아니다. 2부에서 시인은 희망이 아니라 오히려 절망을 노래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시인은 슬픔의 소화기관을 갖고 있지 못해 슬픔을 먹는대로 토해버린다('토악질'). 이런 무의미한 토악질을 반복하는 시인에게 아직 희망은 '허락'되지 않았다. 악몽을 딛고 빛으로 빛나기를 바라지만 유혹에 굴복되어 죽은피를 빨고, 빨린다. 희망이 증가하면서 동시에 죽어가는 것은 우리의 삶과 죽음이 함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시인이 늘 죽음과 삶의 열망을 함께 두기 때문이다. 시인은 '희망이 있다면'이 아니라 '희망이 不可하다면'이라고 말하고 있다. 시인이 이야기하는 희망은 '가짜'인 것이다. 희망이 옳지 않다면 시인은 희망을 부정해야 한다. 그래서 시인은 울지 않고 다 버리고 맨발로 가겠다고 선언하고 있다. 이것이 끝을 위한 시작이라고 말한다('희망의 감옥').

이 시작을 시작으로 시인은 3부에서 모든 것을 끝났으면 하는 바람을 이야기한다. 여기까지 오면서 계속 절망과 희망의 경계에 서 있던 이유는 다름 아닌 시인에게 있어서의 삶의 의미 때문이었다. 허약한 삶이 기대고 있는 허약한 난간에서 시인이 본 것은 얄팍한 삶의 깊이였다. 하지만 시인은 그 경계에서 필사적으로 고통의 춤을 춘다. 슬픔의 리듬에 맞추어서 벌이는 춤사위로 시인은 희망으로 한 걸음 다가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