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엄마 - 거의 행복한 어느 가족 이야기
무리엘 비야누에바 페라르나우 지음, 배상희 옮김 / 낭기열라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우리나라에서 '동성애'를 소재로 삼아 대화를 하기란 참 쉽지 않은 일이다. 떠올려보면, 나는 내 지인들 중 아주 소수의 사람들과만 이것에 대해 이야기를 했던 것 같다. 내가 더 개방적이어서도 아니고, 그네들이 더 폐쇄적이어서도 아니다. 그저,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이야기할 분위기와 타이밍을 만들기 어려운 지금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최근 캘리포니아에서 동성결혼합의법을 발의하였지만 금지법 또한 발의되었고, 그것이 통과되었다는 것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논쟁 자체도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트랜스젠더의 주민등록번호를 바꿔주는 일조차도 얼마나 시끄러웠는가. 그네가 결혼을 한다고 할 때도 시끄러웠고, 입양 이야기가 나오자 또 시끄러워졌더랬다.

  작가가 자란 시대는 아마, 동성애는 병이고, 동성애자들이 이룬 가정은 불행하다고 믿고 있는 사회였을 것이다. 아쉽게도, 지금 여기는 그때 그 곳과 그다지 다르지 않다.
(그래도, 나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싶다. 우리나라 청소년 소설 창작물에서 '동성애'를 다룬 것이 내가 읽은 것만해도 벌써 장편 하나, 단편 하나이다. 이경화님의 '나'가 성 정체성에 고민하는 청소년 이야기를 다뤘다면, 창비에서 내놓은 단편집 '라일락 피면'에 수록되어 있는 오진원님의 '굿바이, 메리 개리스마스'에서는 게이인 아버지와 그의 애인을 바라보는 딸의 시선에서 그려진 '가족'과 '사랑'과 '선택'에 대해 이야기한다. 청소년기에 열린 시야를 갖는다는 것, 열린 마음을 배운다는 것은 얼마나 다행스러운 일인가.)

  동성애자 두 사람이 가정을 이루고, 아이를 입양하고, 가족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따뜻한 시선으로 그려진다. '거의 행복한 어느 가족 이야기'라는 부제처럼, 우리는, 이 이야기가 '거의 행복한 이야기'라는 것을 알고 읽는다. 내용도 시간을 역행한다. 가장 기다리던 두 엄마의 결혼식부터, 두 엄마가 서로 만나서 남은 평생을 함께해야겠다고 생각하던 순간까지. 추보식 구성이 익숙한 사람은 거꾸로 읽어도 좋다,라고 작가는 말하고 있으니- 읽는 순서와 방법에 너무 딱딱하게 굴지 않아도 좋다. 그만큼 내용도, 문장도, 구성도 빡빡하지 않고 촘촘하지 않으니 느긋하게 마음을 열고 읽자.
  그리고, 일기장처럼 펼쳐진 어느 날, 어느 순간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그저, 이 가족의 행복하고 따뜻한 기운을 마음으로 느끼면 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