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우스프라우
질 알렉산더 에스바움 지음, 박현주 옮김 / 열린책들 / 2017년 7월
평점 :
어째서 슬픈 예감은 틀리지 않는지.... 처음 이 책을 읽기 시작했을 때 느꼈던 불길한 예감은 글을 읽어갈수록 퍼즐이 맞춰지듯이 하나하나 맞춰지기 시작했다.
이 글의 주인공은 안나. 그녀는 미국에서 만난 스위스인 남편을 따라 먼 이국땅을 날아왔다. 사랑하니까 결혼했다는 합리적 판단 아래. 그 당시에는 서로 사랑했다고 믿었을지 모르겠지만, 그러나 마치 새장에 갇힌 새처럼, 안나는 합리성과 절제를 요구하는 스위스라는 공동체와 가족이지만 끈끈한 정이라고는 찾기 힘든 무뚝뚝한 시어머니 그리고 남편 사이에서 고독과 외로움이라는 고통을 느끼게 된다.
어떻게 보면 철저하게 자신을 배척하는 타자들과 맞서 싸워야 하는 시점과 공간 속에 놓였다고 할 수 있다. 그 와중에 그녀의 자아 정체성은 어느새 사라져가고 그녀가 서 있는 자리는 조금씩 균열이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그녀의 영혼은 액체처럼 흔들리기 시작하고 그녀의 무의식은 묻기 시작한다. 나는 도대체 왜 여기 있는가?
Do I belong here ? 라는 질문을 하기 시작하며 그녀는 밤마다 집 뒤 언덕을 산책하며 고독을 달랜다.
그러던 와중에 그녀는 생존의 몸부림으로 인한 자신의 선택으로, 혹은 운명의 장난으로 인한 사랑에 빠지게 되는데 그로 인해서 간신히 버티고 있던 그녀의 신경은 와르르 무너져 내린다. 자신은 진실하다고 믿었던 사랑.
불과 같은 사랑이라고 믿었는데........
이제 안나는 메설리 박사라는 정신 분석가와 만나서 면담 치료에 들어가게 된다. 메설리 박사는 보통 스위스인과 마찬가지로 냉정함과 합리성을 갖춘 인간인 만큼, 감정의 영역을 철저히 차단하고, 안나가 꾸는 꿈들을 분석해 가며 그녀의 정신적 성장을 도운다. 이 대목에서 의문이 들었던 것은,, 과연 안나에게 필요했던 것이 정신적 정상이었을까? 아니면 그녀에게서 진심을 끌어낼 수 있는 공감이었을까? 나는 후자라고 생각하는데.... 어쨌든 그들은 형식적이나마 치료를 계속해나간다.
정신과 의사에게서 독일어 수업을 추천받은 안나는, 거기서 만난 아치와 불륜에 들어가기 시작한다. 자신을 밀어내기만 하는 사람들 - 아이들을 봐주긴 하지만 무뚝뚝한 시어머니 우르줄라, 결혼 이후로 애정 표현이 급격하게 줄어든 남편 브루노 - 에 대한 항의의 몸짓이었을까? 그녀는 아치와의 불륜에 이어서 겁도 없이, 파티에서 남편이 얼마 떨어져 있지 않는 거리에서 남편의 지인인 카를과 또 불륜관계에 들어가게 된다.
어쩌자고 저러는 것일까...... 마치 프랑스 여류작가 프랑스와즈 사강의 “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 라는 문장이 떠오르는 장면들이었다. 낮에는 외간 남자들과 불륜을 저지르고 밤에는 집 뒤 언덕에 올라가서 하염없이 걷고 기차 소리도 듣고 새 소리도 들으면서 괴로움을 달래는 안나. 안나는 마치 100킬로 속도로 달리는 자동차에서 졸아버린 운전자 같다. 안나는 빠져나갈 수 없는 운명이라는 네모 상자에 갇혀서 이리저리 흔들리는 삐에로 인형 같다.
작가는 다른 누구의 관점으로도 이 글을 쓰지 않는다. 오직 안나의 관점에서, 안나가 바라보는 세상에 대한 그녀의 느낌을 적기 때문에 안나의 섬세한 심리변화와 심적 고통을 생생하게 그려낼 수 있었다. 오직 여성적 관점에서만 안나의 이상하리만치 자기 파괴적인 행동이 이해가 될 수가 있었다. ( 설명은 못 하겠다 ^^;;;;)
만약 다른 사람의 눈으로 안나의 행적을 따라가게 되었더라면 소설의 느낌이 또 달랐을 수도 있겠지. 남편의 눈으로 봤다면 아마 수상쩍은 행동을 하는 안나를 추적하는 추리소설의 형태를 띄었을 수도 있었겠다.
그러던 중..... 왜!!!! 왜!!! 책이나 영화를 보면 제일 예쁘고 제일 사랑스럽고 제일 아끼는 사람이나 동물에게 안 좋은 일이 생기는 것처럼, 마치 내가 저지른 죄에 대한 희생양이 그들이 되는 것처럼.... 안나에게 절망 그 이상의 사건이 또 터진다.
마치 그녀에게 속죄를 요구하듯 그녀의 삶은 그녀에게서 가장 중요한 것을 앗아가버린다. 그리고 슬픔이 채 가시기도 전에, 눈물조차 말라버린 안나에게 브루노는 자신이 그동안 절제해야만 했던 분노를 주먹에 모두 담아서 그녀에게 날리고는 짐을 싸서 안나에게 집을 나갈 것을 요구한다.
이제 안나는 어딜 가야 할까? 절망적인 안나가 연락한 메리는 바쁘고 찾아간 메설리 박사는 시간을 지키지 않았다고 그녀에게 거절의 표시를 한다. 마지막으로 찾아간 아치는 스코틀랜드로 돌아가있다. 그리고 정말 정말 한가닥 희망을 담아서 들른 성당의 신부는 그녀의 얼굴 자국에 난 멍을 보고는 메설리 박사의 이름이 담긴 정신과 의사들의 목록을 내밀면서 도움을 요청해보기를 충고한다.
책의 끝자락에 와서 나는 내 자신에게 물어보았다. 과연 신이 있을까? 우리에게 정해진 운명이라는 게 있을까? 안나는 자신이 선택한 불행한 삶을 충실히 산 것 뿐이었을까? 아니면 신이 정해준 운명이라는 계단을 차근차근 올라간 것 뿐이었을까?
지금 안나를 만난다면 아무말 없이 그냥 안아주고 함께 울어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면서 책장을 덮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