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하루가 이별의 날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리소설처럼 연이어 사건이 발생하고 사건 해결에 도움을 주는 힌트나 단서들이 주어지면 그것에 대한 추리에 온 머리란 머리를 동원하는 식의 글을 읽어온 터라, 사실 현실인지 상상인지 애매모호하기도 하고 자꾸 슬프고 뭔가 북받쳐오르는 느낌을 들게 하는 이런 책은 사실 읽기 더 힘들었다.


우리는 영원히 살지 못하기 때문에 언젠가는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을 해야한다. 강도의 차이만 있을 뿐 헤어짐으로 인한 고통은 인간이면 누구나 느낄 거라고 생각한다.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 이라는 이 소설의 주인공 할아버지도 그러한 고통을 겪고 있다.  단지 형태가 조금 다를 뿐.


당장 가족의 품을 떠나는 게 아니라 하루 하루 가족들과의 소중했던 기억과 추억을 담아두었던 머리 속 공간을 잃어버리는 형식으로 말이다.


그 공간에서 그는 자신의 상상 속 아내 - 지금은 세상에 없는 - 와 투닥거리던, 그러나 곧 사랑을 확인하던 기억을 떠올리기도 하고 세상에서 가장 사랑하는 존재인 손자 " 노아노아 " - 너무 사랑하여 이름을 2번 부름 - 와 나눈 추억들을 간직하고 있다.


노아와의 추억 중엔 수학과 우주와 영원이 있다. 할아버지는 수학자.


숫자는 그에게 우주이며 동시에 영원이다. 노아도 마찬가지. 할아버지는 노아에게 두려워하지 않는 삶을 가르쳐준다. 


그들은 숫자로 그들만의 게임을 한다.  원주율 맞추기 = 3.14... 뭐든데. 하여간 숫자 = 우주 = 영원. 그들만의 의사소통.


이별은 떠나가는 사람도 고통스럽지만 떠나보내는 사람도 고통스럽기 마련이다.


그러나 이 가족들은 되도록이면 담담히 이별을 맞이하는 쪽을 택한다. 할아버지의 아들인 테드에서부터 손자 노아까지 나이가 들면서 인생의 추억과 기억을 담아둔 소중한 페이지가 나의 책에서 찢겨져 나간다는 사실을 받아들인다는 것.


슬프기도 하지만 인생에서 우리가 꼭 거쳐갈 수 밖에 없는 장면을 담담하게 보여준 소설. 파스텔 톤의 그림이 곁들어져 더욱 더 다정하게 느껴진 이 소설은 ,,,,, 이 새벽 잠들지 못하고 있는 나에게 슬프지만 너무나 감동적으로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