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역사 - 소리로 말하고 함께 어울리다
로버트 필립 지음, 이석호 옮김 / 소소의책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왜 음악을 들으면 감정에 휩싸일까?

현재 우리는 음악을 개인적으로만 소비하는 편이다. k-pop의 선율은 우리에게 행복한 감정을 선사해 주지만 세계적인 k-pop을 이용해서 종교의식을 치른다거나 전쟁에 대한 대비를 하지는 않는다. 그런 반면에 종이도 없고 역사도 글로 기록되기보다는 구전되는 편이었던 아주 옛날, 음악은 그저 사회적인 의식 – 장례식, 종교 의식, 전쟁 준비 –을 잘 치르기 위한 하나의 시스템으로 기능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책 <음악의 역사>는 음악 그 자체를 조명하기보다는 인류의 긴 역사와 더불어 함께 진화하고 발전해 온 음악이라는 면에 초점을 맞춘다.

저자 로버트 필립은 음악가이자 작가이며 BBC 예술 프로듀서 그리고 오랜 시간 음악사를 가르쳐온 학자답게 이 책 <음악의 역사>를 통해서 방대한 음악사의 흐름을 담아낸다. 벽화나 유물을 통해서 우리는 고대 의식에 쓰인 음악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는데, 대부분 춤, 악기 연주, 입으로 내는 소리가 구분되지 않은 형태였다. 여기서 출발한 음악은 유럽 중세 시대의 성가, 바로크 시대의 오페라, 낭만주의 시대의 교향곡, 현대 대중음악 그리고 지금 세계적으로 인기를 끄는 K-pop까지, 한마디로 이 책은 나무를 보기보다는 음악사의 전체 숲을 조망할 수 있게 해준다.

이 책에서 가장 감탄하게 되는 부분은 역시 자료의 방대함과 저자의 정리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책은 총 합해서 40개의 챕터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각 챕터는 chapter 1 <음악의 ‘무엇’과 ‘왜’>처럼 특정 제목이 붙어있는데 5개의 대륙과 수천 년에 걸친 음악의 역사가 화려하게 펼쳐진다. 인류 역사를 통틀어 지금까지 알려진 거의 모든 음악의 종류가 소개되는데 예를 들자면 3000년 전 인도에서 불렀던 명상 음악 “라가” 나 6세기 일본 악기 “샤미센” 과 14세기 이후 음악극인 노와 가부키와 같은 형태가 유행한 상황도 다루고 있다.

위에서도 잠깐 언급했듯이, 이 책은 감정을 움직이는 도구로서의 음악이라는 관점보다는 기술의 진보와 함께 진화하고 정치와 종교 그리고 사회적 맥락 속에서 태어나고 사라지고 재해석되는 음악이라는 관점에서 서술하고 있다. 9세기 프랑스의 수도승으로부터 발전한 중세의 “네우마” 기보법부터,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오페라의 정치적 기능, 그리고 힙합의 사회적 맥락까지... 이 책은 각 시대의 음악이 어떤 사회적 배경에서 탄생했는지, 어떤 의미를 품고 있는지 친절하게 풀어낸다. 책을 읽으며 음악의 발전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종교 개혁, 산업혁명, 제국주의, 여성의 지위 변화, 전쟁과 저항의 흐름까지 함께 읽게 된다.

최근에 넷플릭스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는 한 애니메이션을 봤는데, 솔직히 줄거리는 다소 빈약했지만 그래픽의 완성도나 사운드트랙이 너무 멋져서 이 애니가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끄는 이유를 알 수 있었다. 거기에 나오는 K-pop이 현재 빌보드 차트에서도 상위를 차지하고 있기에 진짜 음악의 힘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느꼈다. 책 <음악의 역사>는 그러한 흐름을 짚어낸다. 음악을 통해 시대를 이해하고 인간의 삶을 들여다볼 수 있다. 음악은 혼례, 제례, 등 인간의 크고 작은 행사를 담당했고 종교적 정치적으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말하자면 “음악의 역사는 곧 인간의 역사다”라고 할 수 있고 이 책이 정말 그런 면을 잘 보여준다. 언제나 우리와 음악이 함께 했음을 보여주는 책 <음악의 역사>

* 출판사에서 받은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리뷰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