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속노화 마인드셋 - 노년내과 의사가 알려주는, 내 몸의 주도권을 되찾고 무너진 삶을 회복하는 법
정희원 지음 / 웨일북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전도 환경도 아닌 우리의 마음이 노화를 결정한다"

건강 정보, 루틴, 식단보다 먼저 마인드셋부터 시작하라

요즘 저속노화라는 주제가 사람들 사이에서 대단히 핫한 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유튜브에서도 저속노화 레시피나 저속노화법을 알려주는 의사 선생님의 릴스가 인기를 끌고 있는데, 솔직히 말해서 이 책의 겉표지에 나오는 의사선생님의 얼굴을 보니 너무 반가웠다. 그만큼 이 책을 쓰신 선생님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는 사실. 이 책을 쓴 분은 현재 서울 아산병원 노년내과에 계시는 정희원 교수님인데, 이 책 [저속 노화 마인드셋]은 단지 건강 루틴을 알려줄 뿐만 아니라 "내 몸의 주도권을 되찾고 무너진 삶을 회복하는 법"을 알려준다. 몸의 문제를 마음에서 찾는 내용이 많기에 나는 이 책을 읽고 나서 요즘 내가 어떤 마음의 속도로 살아가고 있는지 궁금했다.

병들고 아픈 상태로 오래 살고 싶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조금 천천히 늙고 병 없이 오래 사는 삶, 즉 무병장수가 인간들의 최고의 욕망이 아닐까? 사람들 사이에서 덜 늙고 싶다는 욕망은 넘쳐났지만, 그러나 현실은 늘 실패였다. 이 책은 실패의 이유를 의지력 부족에 두기보다는 애초에 회복을 허용하지 않는 마음의 시스템에 있다는 것을 정확하게 짚어낸다. 사실 우리는 운동화와 영양제를 사면서 동시에 건강을 사고 있다고 믿고, 과로와 수면 부족을 자기 관리라 착각하며 산다. 말하자면 피로한 일상에 "실천"이라는 짐까지 얹으며 지쳐가지만 정희원 교수는 회복은 또 다른 프로젝트가 아니라는 말을 한다.

책은 저속 노화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던 기존의 오해나 고정관념들을 바로잡는다. 저자는 "미래 자기 연속성"이라는 개념을 이야기하는데, 말하자면 우리는 미래의 나를 타인처럼 느끼기 때문에 현재를 쉽게 낭비한다고 한다. 결국 이는 건강의 붕괴로 이어진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미래의 나와 연결된 사람일수록 건강한 습관을 가지고 있다는 실제 연구 사례도 보여준다. 이뿐만 아니라 저자는 "잡곡밥 같은 도파민"을 이야기한다. 책 읽기, 걷기, 글쓰기와 같은 잔잔히 분비되는 도파민의 힘, 즉 은은하게 오래가는 감각이 훨씬 더 건강에 좋은 효과를 부여한다고 말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 책은 "덜어내는 일"을 강조한다. 더 많은 영양제를 먹고 더 비싼 용품을 구매한다고 해서 건강을 지켜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덜어내라고 말하는 저자. 수면을 확보하고 스마트폰을 멀리하며 식사 하나라도 제대로 하는 일상이야말로 나를 건강하게 지켜내는 일이라고 말하고 있다. 결국 귀찮아도 성실히 해내는 나 자신이야말로 건강을 지켜낸다는 사실을 짚어주는 저자. 그는 책의 마지막에 직접 실천하는 루틴들을 소개한다. 달리기, 악기 연습, 글쓰기 모두 몰입과 회복이 공존하는 활동. 이 활동들이야말로 저속 노화적 자기 돌봄의 핵심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 저속노화는 렌틸콩도 아니고 기능성 화장품도 아니다. 브라이언 존슨은 저속노화좌가 아니다. 저속노화는 삶이라는 나무이며, 마인드셋이다. "

이 책에서 제시하는, 삶을 "나무"로 비유하는 점이 인상 깊었다. "토양"은 스스로를 바라보는 관점, "뿌리"는 삶을 운영하는 원칙, "줄기"는 나만의 시스템, "나뭇잎과 열매"는 일상의 습관들, 그리고 나무의 건강은 장기적 효과와 선순환에서 비롯된다고 한다. 책을 덮고 나니 내 삶을 어떤 구조로 설계해야 할 것인가?라는 고민이 시작되었다. 이 책 [저속노화 마인드셋]은 이렇게 말한다. "몸의 근력보다 마음의 근력을 먼저 키워야 한다" 운동하기 싫은 날, 해로운 유혹이 다가오는 순간, 나를 꾸짖는 대신 돌아올 수 있는 루틴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저자. 도파민 중독에서 벗어나서 건강을 위한 나만의 속도를 되찾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 [저속노화 마인드셋]

* 출판사에서 받은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리뷰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