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푸드 리스크 매니지먼트 - 푸드산업 종사자라면 꼭 알아야 할 식품 안전과 위기 대응
박성진 지음 / 예미 / 2025년 6월
평점 :
"식품산업은 본질적으로
높은 리스크를 안고 있다"
한 번의 위기로도 흔들릴 수 있는
식품 브랜드와 식품
요즘에는 먹거리의 안전과 신뢰 문제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진다. 이런 시점에서 식품 산업에 종사하거나 외식업을 운영하는 분이라면 반드시 한번은 읽어봐야 할 책이 있는데, 바로 이 책 <푸드 리스크 매니지먼트>이다. 저자 박성진 씨는 30년 가까이 식품 현장에서 경험을 쌓았고 현재는 대학 강단에서 식품 위생과 품질 관리에 대해 강의를 하고 있다고 한다. 그는 이 책을 통해서 "리스크는 피할 수 없지만, 예측하고 관리할 수 있다"라고 말하고 있다. 그가 현장에서 부딪치며 배우고, 고민해 온 기록을 하나로 묶은 결과물이 바로 이 책이다.
이 책은 단순히 식중독이나 음식 속 들어있는 이물질 같은 사고만을 다루지는 않는다. 공급망 불안, 기후 변화, 원재료 가격 상승, 법적 규제, 식품 테러, 악성 리뷰, 블랙 컨슈머 등등 이 모든 것이 "푸드 리스크"에 포함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저자는 실제 사례를 통해서 이러한 리스크가 어떻게 기업의 존립을 위협하는지도 보여준다. 예를 들자면, 덴마크에서 불닭볶음면이 너무 맵다는 이유로 리콜 통보를 받게 되었는데, 신속한 대응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설득을 통해서 다시 리콜이 해제되었다고 한다. 아마도 사전에 위기 예방을 시스템화하였기 때문이 아닌가라고 저자는 말한다.
이 책은 크게 3개의 파트로 나뉜다. 우선 파트 A의 제목은 "리스크 매니지먼트"이고 식품 안전, 공급망 리스크, 정치 경제적 위협 등 외식업이 직면하고 있는 여러 리스크를 정리하여 이를 어떻게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관리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파트 B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인데, 위기 상황에 직면했을 때 언론에 어떻게 대응할지, 고객 상담 운영을 어떻게 할지 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세우는 법을 알린다. 마지막으로 파트 C는 "리스크 리빌딩"으로서 위기를 겪은 이후에 조직과 브랜드를 어떤 식으로 복구할 것인가를 다루는 부분이다. 단순한 수습이 아닌 신뢰 회복과 지속 가능한 성장에 초점을 맞춘 채로, 시스템 리빌딩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 몇 년 간 이름있는 브랜드가 위생 문제나 커뮤니케이션 실패 때문에 처참히 무너지는 것을 우리는 뉴스를 통해서 목격해왔다. 사실 외식업이나 식품 관련 사업을 하다 보면 쌓인 문제가 터질 수도 있다. 그러나 그 문제가 회복 가능한 작은 파장이 될지, 아니면 브랜드 자체를 무너뜨리는 커다란 문제가 될지는 리스크 관리에 달려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위기를 통해서 많은 기업들이 무너지지만 어떤 기업들은 위기를 통해서 오히려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저자는 식품 리스크는 완전히 제거할 순 없지만, 철저한 준비와 시스템 구축으로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 책을 읽는 동안 식품업이나 외식업에 종사하는 분들에게 정말로 존경심마저 들었다. 음식에 벌레나 이물질을 집어넣고 보상을 요구하는 블랙 컨슈머는 어쩌면 작은 문제라는 생각이 들었다. 실로 다양한 문제들이 폭탄처럼 도사리고 있었다. 이 책은 그러한 다양한 리스크를 체계화하고 대응하고 회복하는 생존 매뉴얼이다. 브랜드가 위기에 처했을 대 어떻게 하면 신뢰를 재구축하고,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지 전략을 제시한다. 이 책은 음식 산업에 관련된 위기 위주로 대응 방식을 제시하고 있긴 한데, 사실 모든 산업에 다 적용될 수 있을 거라는 생각도 든다. 이 책을 식품업에 종사하는 분들, 혹은 위기 대응이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배우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한다.
* 출판사에서 받은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리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