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연 그대로의 자연 - 우리에게는 왜 야생이 필요한가
엔리크 살라 지음, 양병찬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6월
평점 :
생태계 보존에 관한 전 지구적 동참을 호소하는
내셔널지오그래픽 탐험가 엔리크 살라의 역작!
우리는 자연을 잘 안다고 생각하지만 정작 자연이 우리에게 얼마나 깊은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선 놀랄 만큼 무지하다. 책 [자연 그대로의 자연]은 해양 생물학자이자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청정 바다 프로젝트를 이끄는 엔리크 살라가 집필한 책인데, 그는 이 책을 통해서 우리가 그동안 외면해온 자연의 목소리를 대중들에게 들려주고자 한다. 이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의 명확한 메시지를 가지고 있다. "모든 것은 연결되어 있고 자연을 보호하는 것은 곧 우리 자신을 지키는 일이다"라는 메시지.
저자는 원래 바닷속 조류를 연구하던 학자였다. 그러나 연구 과정에서 자신이 쓰고 있는 논문의 내용 대부분이 "생태계의 붕괴"를 다루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그때부터 그는 자연을 기록하는 사람이 아니라 자연을 지키는 사람이 되기로 결심한다. 그렇게 그는 책상에 앉아서 과학에 대해서 쓰는 사람이었다가 이제 야생의 최전선을 직접 누비는 탐험가가 된다. 이 책은 그간의 현장 경험, 생태학의 기본 개념, 그리고 우리가 매일 무심코 저지르고 있는 환경 파괴의 실태를 설득력 있게 풀어낸다. 먹이 그물, 생물 다양성, 기반 종과 핵심 종, 에너지 흐름, 생태계 연쇄 반응 등과 같은 전문 용어를 사용하지만 독자들이 충분히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쉽게 전달한다.
책 속 내용 중 가장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바로 단순히 자연을 보호하자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을 내버려두는 것만으로도 생태계가 회복될 수 있고 그 와중에 인간에게도 경제적 이득이 돌아올 수 있다는 주장이었다. 즉, 자연을 위한 선택이 인간을 위한 선택이라는 것을 과학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는 책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책의 후반부에는 한때 전체 인류의 생존을 위협했던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이 바이러스가 왜 등장하게 되었는지 설명하는 동안, 인간이 야생을 침범했을 때 어떤 대가를 치르게 되는지를 경고한다. 생태계에 대한 무지와 무지는 결국 이런 불행한 사태를 초래한다는 점에서 이 책의 핵심 메시지를 전달한다고 하겠다.
엔리크 살라는 과학자이지만 단지 데이터로만 경고하고 있지는 않다. 그는 우리가 그동안 잊고 있던 경외감과 겸손을 되찾자고 말한다. 우리의 삶이 지구라는 시스템에 얼마나 의존적인가, 그리고 이 시스템을 망가뜨리는 일이 얼마나 어리석은가를 수많은 실험과 사례, 그리고 자신의 경험을 통해 보여준다. 저자의 의견에 따르면 우리는 한때 공룡을 멸종시킨 소행성에 맞먹는 속도로 종을 멸종시키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생물 다양성의 감소가 대단히 심각한 상황이라고 한다. 이 책은 생태계를 복원했을 대 경제적 이익이 상당하며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구체적 방향성까지 제시한다.
이 책은 조용한 어조로 독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는 듯하다. "당신은 이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이제 깨어있어야 한다. 우리가 버리는 쓰레기, 우리가 지지하는 정치적 선택, 우리가 아이에게 들려주는 한 문장... 이 모든 것이 '자연'에게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음을 이제는 깨닫게 되었다. 이 책은 논리와 감성, 과학과 윤리, 데이터와 영성을 같이 담고 있고, 자연이야말로 우리를 존재하게 한 터전이라는 사실을 우리에게 상기시킨다. 엔리크 살라는 이 책을 통해서 우리가 변하지 않으면 지구가 우리를 바꿀 것이라고 말한다. 이제 지구라는 집을 지키는 일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가 되었다.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철학적이면서도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싶은 분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 출판사에서 받은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리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