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쌈리의 뼈 ㅣ 로컬은 재미있다
조영주 지음 / 빚은책들 / 2025년 5월
평점 :
*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리뷰하였습니다.
기억하면 사실일까?
사실이면 기억될까?
소설 [쌈리의 뼈]는 복잡한 미로 같은 소설이다. 소설을 쓴 작가는 치매에 걸려 기억을 잃어버렸고 진실을 좇는 작가의 딸은 있지도 않는 기억을 떠올린다. 주인공 해환이 진실을 좇는 가운데 만나게 되는 많은 사람들은 저마다의 비밀을 품고 있고 책 속의 죽음은 현실의 죽음으로 이어진다. 들어가면 들어갈수록 더욱더 출구를 찾기 힘든 미로 같은 내용인 동시에 책 전체가 마치 치매 환자의 뇌 속 같은 혼란스러운 상황. 움켜잡으려고 하면 할수록 흩어지는 모래가루와 같은 소설 [쌈리의 뼈] 속으로 들어가 본다.
주인공 윤해환은 과거 [굴]이라는 작품으로 한때 명성을 날렸던 소설가 엄마 윤영자 씨와 살고 있다. 엄마는 얼마 전부터 치매에 걸려 작품 활동을 이어갈 수 없게 된다. 그녀는 자신이 쓰고 있던 소설 [쌈리의 뼈]의 나머지 집필을 딸 해환에게 맡기게 되고, 해환은 의외로 소설 내용에 빠르게 빠져든 이후 신나게 작품 활동을 이어가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소설의 배경인 집창촌이 모여있는 평택 "쌈리"에서 소설에 나온 것처럼 사람의 유골이 발견되었다는 소식에 깜짝 놀라는 해환. 그녀는 지인과 함께 "쌈리"로 달려가 여전히 남아있는 사람들을 인터뷰하며 진실을 추적하게 된다.
소설 [쌈리의 뼈]를 읽으면서 나는 생각했다. " 과연 이 세상에 완전한 허구인 소설이 있을까? " 이런 나의 생각처럼 주인공 해환도 엄마가 집필하고 있던 소설의 이야기와 현실이 어느 정도 겹친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모든 것에 의심을 품는다. 소설 속에 등장하는 살인자는 과연 누구일까? 그리고 땅속에 묻혔다는 유골의 주인들은 과연 누구일까? 등등 소설이라는 허구와 사실의 경계에서 미친 듯이 의심하고 방황하는 해환. 이상하게도 "쌈리"라는 곳이 익숙하게 다가오면서 뭔가 있다는 느낌을 받는 해환. 그러던 와중에 소설 속 살인 피해자와 같은 이름의 여성을 만나게 되는데.....
2011년 [홈스가 보낸 편지]로 등단한 조영주 작가는 이후 다양한 공모전 수상과 함께 [붉은 소파], [반전이 없다], [혐오 자살]등으로 미스터리 팬들에게 주목을 받아왔다. 이번 소설은 그야말로 작가의 내공이 응축된 작품인데, "기억"이라는 주제를 추리 미스터리 스릴러 형식으로 잘 풀어내었다고 본다. 소설 [쌈리의 뼈]는 과연 우리가 떠올리는 과거의 기억이 믿을 수 있는 것인지, 그리고 우리가 믿는 진실이 과연 진실이 맞는지, 끊임없이 질문을 던진다. "엄마의 소설이 진실일까, 아니면 주인공이 쓴 이야기가 더 진실은 아닐까?" 라고 묻는 듯한 소설.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해환이 소설 속 살인자를 찾기 위해 추적하는 동안 갑자기 사망한 채 발견되는 사람들..... 이 책은 주인공 해환 주위에 있는 모든 인물들을 의심하게끔 만든다. 그만큼 분위기는 긴장과 불안으로 팽팽하며, 독자들은 진실을 밝히기 위해서 이리저리 뛰어다니는 해환의 애타는 심정을 함께 느끼게 된다. 치매로 인해 기억을 잃어버린 엄마, 엄마가 끝내지 못한 이야기를 맡아 완료해야 하는 해환. "쌈리의 뼈"가 드러났듯이 엄마가 잃어버린 기억을 해환이 끄집어내어 마침내 진실을 밝혀낼 수 있을까? 서술 내내 독자들의 불안과 혼란을 불러일으키는 미스터리 소설 [쌈리의 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