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들이 남쪽으로 가는 날 - 2024 스웨덴 올해의 도서상 수상작
리사 리드센 지음, 손화수 옮김 / 북파머스 / 2024년 12월
평점 :
"너도 알다시피 난 네가 자랑스럽단다"
오늘 사랑하는 가족에게 따뜻한 말 한마디를 전했는지,
혼자 계시는 부모님께 안부 전화를 드렸는지 물어보는 듯한 소설 [새들이 남쪽으로 가는 날] 이제 생의 마지막을 앞두고 있는 노년의 "보"를 주인공으로 한 소설이다.
그의 일상은 조용하고 차분하게 흘러간다.
매일 요양보호사가 찾아와서 그의 식사와 샤워 등을 도와주지만 요양보호사라는 존재만으로는 채워지지 않는 헛헛함은 반려견 식스텐이 채워준다.
보의 몸은 현재에 머물고 있으나
의식은 끊임없이 과거로의 여행을 떠난다.
비유하자면 머릿속에 낡고 빛바랜 사진첩을 품고 있다가
자신도 모르게 사진첩이 주르륵 펼쳐지는 상황이라고 할까?
치매로 요양원에 가있지만 현명하고 예뻤던 아내
귀엽고 천진난만했던 어린 아들 한스
너무나 사랑하는 유일한 손녀 엘리노르
회사에서 만나 지금까지 만나고 있는 절친 투레
와의 즐겁고 행복했던 과거의 기억들
느닷없이,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과거의 기억들은
관절도 뻣뻣하고 눈도 잘 보이지 않는 현재의 보를 들어 올려서 기력이 넘쳤고 행복으로 가득했으며 사랑으로 충만했던 결혼 생활과 노인이라고 칭하는 폭군 같은 아버지 때문에 힘들었던 어린 시절로 날아가게 만든다. 그는 뒤죽박죽 섞여버린 기억들이 불러오는 여러 미묘한 감정들 - 분노, 슬픔, 기쁨 등 - 을 느끼며 하루를 보낸다.
그러던 어느 날, 반려견 식스텐에 대한 관리 문제를 제기하는 아들 한스. 그는 반려견을 산책하다가 아버지 보가 다칠 수도 있을 문제를 이야기한다. 요양 보호사들에게 맡기면 되지 않냐는 아버지의 말에, 그것은 그들의 일이 아니라고도 하는 아들 한스. 보는 외로운 자신의 삶에 유일한 친구가 되어주는 식스텐을 데려가려는 아들이 폭군처럼 느껴지고 좀처럼 풀리지 않는 분노를 느끼게 된다.
아버지를 보호하고 최대한 잘 돌보기 위해 애쓰는 한스와 그런 한스에게 서러움과 분노를 느끼는 보를 보면서
나는 안타까움을 느꼈다. 서로를 사랑하면서도
끝내 전하지 못한 말과 진심이 진하게 느껴지기 때문이었다.
잘 움직여지지 않는 몸과 좀 전의 일이 기억나지 않는 고장 난 머리. 의식은 과거에서 맴돌다가 겨우 현실로 돌아오고 까딱하면 길에서 넘어져서 의식을 잃거나
겨우 정신을 차려보면 기억나지도 않는 과정에 의해
밤거리를 헤매는 삶... 누가 노년을 아름답게 저무는 해라고 할까?
그러나 이제 생의 마지막으로 접어드는 보는
아들 한스 그리고 손녀딸 엘리노르 등 남아있는 가족들과 진정한 화해를 시도하고 하고 싶은 말을 전하려 노력한다. 과연 보는 마지막 순간에 아들 한스에게 진심을 전할 수 있었을까?
읽는 내내 무뚝뚝한 우리 부모님을 떠올리게 했던 소설이다. 그 무뚝뚝함 속에 자식들을 향한 커다란 애정이 숨어있음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된다. 가족의 의미가 무엇인지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아름답고 감동적인 책
[새들이 남쪽으로 가는 날]
"나는 어머니에게 살아생전 고맙다고 말하지 못했던 것을 너무나도 후회했다. (...) 나는 어머니에게 그 말을 했어야 했지만 그러지 못했다. 바로 그 때문에 나는 어머니와 단둘이 있을 때도 진심으로 행복할 수 없었다."
"나는 한스가 행복하기만을 바랐다. 그가 나와의 관계 때문에 앞으로도 수십 년 동안 불행해하지 않기를 바랄 뿐이었다."
* 출판사에서 받은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리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