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레나는 알고 있다
클라우디아 피녜이로 지음, 엄지영 옮김 / 비채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이 아이러니하다.

진실을 알지 못해서 그것을 찾으러 떠나는 엘레나의 여정을 담은 소설이기에. 그러나 엘레나는 무의식적으로는 알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딸 리타의 죽음에 관한 진실을. 이제 드는 생각인데, 그녀가 길을 나선 이유는 오히려 진실을 부정할 증거를 찾기 위함이 아니었을까? 지독한 모성이 품은 묵직한 슬픔과 분노가 독자들을 이야기 속으로 빠져들게 만드는 소설.

주인공 엘레나는 일종의 신경성 퇴행 질환인 파킨슨병을 앓고 있다.고개를 드는 것도, 침을 삼키는 것도, 화장실에 가는 것도 힘든 엘레나를 위해 착한 딸 리타는 마치 그녀의 수족인양 정성스럽게 엄마를 돌봐준다.

그러던 어느 날,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 들려온다.

리타가 성당의 종탑에 목을 맨 채 사망한 상태로 발견이 되었다는 것. 경찰은 용의자를 샅샅이 조사하지만 도저히 혐의점을 발견하지 못하고 리타의 자살로 결론을 내어버린다.

그러나 엘레나는 리타가 결코 자살을 하지 않았다는 증거를 가지고 있다. 번개를 무서워하는 리타는 비가 오는 날이면 핑계를 대서라도 미사를 빠졌었다. 즉, 비 오는 날 번개에 맞을 수 있는 성당 종탑에 리타가 스스로 올라갔을 리가 없다는 사실.

엘레나의 눈물겨운 모성은 그녀로 하여금 딸의 사건에 대한 진실을 파헤칠 방법을 떠올리게 한다. 20년 전 엘레나와 리타가 어려움에 빠진 한 여인을 구해낸 일이 있었는데, 그녀에게 몸을 빌리러 가는 엘레나. 말하자면 거동이 매우 힘든 신체라는 감옥에 갇힌 엘레나가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태이기에 엘레나는 20년 전에 도움을 줬던 여인 이사벨에게서 이제는 도움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사벨에게서 나온 말은 엘레나를 엄청난 충격에 빠뜨리게 되는데...

그전에 읽었던 [신을 죽인 여자들]이라는 소설에서도 느꼈지만, 저자 클라우디아 피녜이로는 “여성의 몸과 삶에 대한 선택과 자유”라는 주제로 독자들에게 크나큰 질문을 던지는 듯하다. 전통적인 사회와 종교에서 던지는 메시지가 사회를 지배할 때 그것은 여성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가게 될 것인가? 개인의 자유와 선택보다는 교리와 교훈이 앞서는 사회는 은연중에 폭력과 학대를 내포하고 있을 수 있다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우리가 처한 현실 앞에서 도덕과 윤리라는 단어는 굉장히 위선적으로 쓰이기도 한다.

딸의 죽음에 대한 진실을 파헤치는 어머니의 여정을 담고 있기에 어둡고 묵직한 모성의 슬픔과 분노가 독자들을 사로잡는 소설 [엘레나는 알고 있다] 1인칭 화자의 시점이라서 장애로 인해 거동이 힘든 엘레나의 마음속 절망이 고스란히 독자에게 전해지기에 다소 마음이 불편해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 책이 드러내는 진실의 울림은 영혼을 뒤흔들 만큼 굉장하다. 따라서 그전에 있었던 일은 어쩌면 독자들의 뇌리에서 고스란히 사라질 수도 있다.

인간인 우리는 자신이 믿고 싶은 것만을 믿는 존재일 수도 있다. 아마도 우리가 제일 보고 싶어 하지 않는 게 진실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충격적이었지만 한편으로는 너무 슬프고 안타까웠던 소설 [엘레나는 알고 있다]



* 출판사에서 제공한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리뷰하였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