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이트홀
카를로 로벨리 지음, 김정훈 옮김, 이중원 감수 / 쌤앤파커스 / 2024년 9월
평점 :
세계적인 물리학자 카를로 로벨리,
‘시간이 거꾸로 된’ 블랙홀로 우리를 안내하다
과연 평범한 일반인 독자인 내가 '블랙홀'과 '화이트홀' 그리고 상대성 이론과 양자이론을 이해할 수 있을까? 고민이 되었는데, 의외로 [화이트홀]은 전문 과학 서적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쉽게 과학 이론을 설명하고 있어서 이해하기가 크게 어렵진 않았다.. 우주는 너무나 방대하고 미스터리해서 이해하기는 정말 어렵지만, 그냥 이론으로라도 알고 싶은 마음에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사실 '블랙홀'에 대해 좀 더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가 영화 '인터스텔라'였다. 영화 전체의 내용이 정확하게 기억나지는 않지만 아마도 블랙홀로 빨려들어간 주인공이 시공간 왜곡을 겪은 뒤, 딸의 어릴 적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 그녀에게 뭔가를 남김으로써 강력한 영감을 전달했던 장면. 물론 이론적으로만 가능한 장면이라고 생각하긴 했지만 그래도 나에겐 굉장히 충격적이었다.
그때부터 고민했던 것 같다. 과연 시공간도 마치 물질처럼 늘어나고 수축되고 이 시공간이 다른 시공간으로 침투하고 그런 일이 가능한 것일까? 그런데 이 책 [화이트홀]의 저자 카를로 로벨리는 나와 같은 일반 독자도 그나마 어렴풋하게 (?) 이해할 수 있도록 블랙홀과 화이트홀 이론을 잘 설명해 주고 있다. 저자 카를로 로벨리는 이탈리아 태생의 세계적인 이론 물리학자이고 양자이론과 중력이론을 결합한 '루프 양자중력'이라는 개념으로 블랙홀을 새롭게 규명한 우주론의 대가라고 한다.
블랙홀이란 더 이상 진화, 발전하지 못하는 별이 중력과 수축력의 영향으로 폭발하고 무너지게 되면서 주위 공간과 시간을 빨아들이는 현상이다. 엄청한 힘으로 빨아들이기에 빛을 포함한 그 어떤 것도 빠져나올 수 없는 영역이라 한다. 저자 카를로 로벨리는 마치 깔때기처럼 생긴 그림을 통해서 블랙홀을 잘 설명하고 있다. 책에 나오는 그림처럼, 죽어가면서 중력의 영향에 따라 주위에 있는 모든 것, 시공간마저도 끌어당기는 블랙홀. 나는 탱탱한 고무로 된 표면에 강력한 자석이 있는 쇠구슬이 떨어지면서 안쪽으로 그 표면을 끌어당기는 모습을 상상했더니 이해가 더 잘 되었다.
그렇다면 화이트홀은? 저자 카를로 로벨리는 블랙홀을 바닥에 닿은 농구공으로 묘사한다. 말하자면 공간에도 입자가 있으므로 별이 더 이상 수축할 수 없는 임계점에 다다르게 되면, 농구공이 바닥을 쳤을 때 다시 튕겨나는 것처럼, 블랙홀도 공처럼 튕겨서 되돌아갈 것이라는 이론이다. 필름으로 비유하자면, 공이 떨어지는 장면을 거꾸로 재생하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블랙홀의 일생을 촬영하고 영상을 거꾸로 재생한다고 상상하면 우리는 화이트홀을 볼 수 있게 되고, 그것은 곧 시간이 거꾸로 가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이 책을 통해서 '블랙홀'이라는 개념뿐만 아니라, 상대성 이론, 양자 이론, 암흑 물질, 노드, 스핀 네트워크, 플랑크 별 등등 화이트홀이라는 개념에 도달하기 위한 기본 지식을 많이 습득할 수 있었다. ( 잘 이해는 안 되지만 ) 그뿐 아니라 내가 생각했던 과학자의 이미지도 180도로 바뀌었다. 아주 냉철하고 논리적인 사람들이라는 이미지가 있었는데, 저자 카를로 로벨리는 굉장히 예술적이고 철학적인 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우주에 대해서 이렇게 낭만적이고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는 과학자가 있다니, 그저 놀라울 뿐이다. 삶을 표현하기 위해서 가수가 노래를 하고, 배우들이 영화를 찍는 것처럼 우주를 연구하는 과학자들. [화이트홀]은 우리가 이 세상에서 맺고 있는 '관계'를 다시 한번 일깨워 준 고마운 책이다.
" 나는 우리가 우주를 이해하고 우리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주를 항상 '당신'으로 불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사물과 하나임을 인정하는 그런 '당신'이죠. 당신과 나, 우리는 같은 피를 나눈 것입니다. (...) 수(Sioux) 족의 한 장로에 따르면 삶의 의미는 우리가 만나는 모든 것을 향해 노래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화이트홀을 향한 나의 노래입니다." - 174~175쪽-
* 출판사에서 받은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리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