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본 것 - 나는 유해 게시물 삭제자입니다
하나 베르부츠 지음, 유수아 옮김 / 북하우스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저히 끝까지 볼 수가 없었어.

그 영상을 보면 자꾸 뭔가가 떠올랐으니까.”

소설 [우리가 본 것]은 인터뷰 형식의 다소 짧은 소설이다. 하지만 굉장히 밀도가 높고 무거운 주제를 다루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는 매일 홍수처럼 밀려드는 영상들을 보고 열광한다. 그러나 물건을 사용한 후 쓰레기가 어떻게 처리되는지 제대로 알지 못하듯, 인터넷에 실리지 못하는 유해 영상들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아는 사람들은 거의 없을 것이다. 소설 [우리가 본 것]은 유해 영상 삭제 처리라는 매우 어둡고 고통스러운 여정을 경험하는 사람들을 날카로운 시선으로 묘사한 이야기이다.

주인공 케일리와 동료들은 한 미디어 기업을 위해서 온라인에 게시가 가능하지 않은 영상을 골라내는 작업을 한다. 헥사라는 하청 기업에 소속된 이들 노동자들은 기업에서 제시한 가이드라인에 맞게 영상들을 골라내어 삭제하지만, 가이드라인은 그때그때 바뀌기에 평가 기준이 다소 애매모호하다. 겉으로 보기엔 명백한 유해물 – 동물 학대, 성폭력, 자해 등등 – 일지라도 약간의 변수에 따라서 온라인 게시가 가능하기도 하고 불가능하기도 하다.

나는 이 소설이 실제 노동 현실을 조금이라도 반영하고 있다면, 정말 엄청난 문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우선 감수자들은 심각한 정신적 고통에 시달려야 한다. 그들은 엄청나게 폭력적이고 잔인하며 처참한 영상을 매일 봐야 한다. 보안을 위해서 서로 대화도 제대로 나누지 못하는 상태에서 매일 500개 이상의 게시물을 다뤄야 하고 하루에 딱 2번만 휴식 시간을 가질 수 있다. 그렇게 죽도록 일하고도 애매한 평가 기준 탓에 영상을 걸러내는 속도나 정확도가 떨어지면 해고를 당한다. 그야말로 직원의 인권이 전혀 보장되지 않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소설은 주인공 케일 리가 직장을 그만둔 후에 그녀에게 회사를 상대로 한 소송에 참여할 것을 권하는 변호사 스티틱과 나누는 대화 위주로 서술된다. 회사에서 있었던 일들을 마치 고해하듯 토해내는 케일리를 보면서 인간성이 보장되지 않는 열악한 작업 환경이 인간의 신체와 정신을 얼마나 좀먹는지를 알 수 있었다. 감정적으로나 이성적으로나 어딘지 모르게 불안해 보이는 케일리. 그녀가 회사에서 겪었던 일은 그녀의 정신을 파괴했고 결국엔 그녀가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관계까지 망가뜨리게 된다.

소설 [우리가 본 것]은 짧지만 강렬하다. 미디어 시대라는 화려함 이면에 숨어있는 어두운 현실을 고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영화 모던 타임스에서 찰리 채플린이 쉴 새 없이 돌아가는 공장 안에서 혹사당하는 노동자 흉내를 내면서 사회 현실을 고발했듯이, 이 소설도 엄청난 양의 콘텐츠라는 제품을 생산하는 거대 공장들 – 즉 IT 기업들 -에 대한 비판을 하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책의 끝부분에는 이런 말이 실려있다. “이 소설은 허구이며 등장인물과 그들의 경험은 창작의 산물이다. 하지만 소설의 내용이 현실과 유사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 물론 작가의 상상력에 기초한 픽션이겠지만 이 소설은 굉장히 사실적이다. 대중들의 눈에 쉽게 띄지 않는 정신적 노동자들의 비참한 현실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실 이면에 도사리고 있는 불편한 사실, 그러나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할 우리 사회 현실을 알고 싶은 분들에게 강력 추천하는 소설 [우리가 본 것]

* 출판사에서 제공한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리뷰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