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실의 새 - 나는 잠이 들면 살인자를 만난다
김은채 지음 / 델피노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나는 잠이 들면 살인자를 만난다"

주인공 김하진은 연쇄 살인 등을 다룬 스릴러 소설로 큰 히트를 친 젊은 작가이다. 그런데 그의 작품은 논란에 휩싸여 있다. 마치 직접 누군가를 죽여본 것처럼 아주 생생하고 현장감 넘치는 살인 묘사 때문이다. 책을 읽은 독자들이 그와 그의 작품에 대해서 "작가는 살인자다,"라던가 "자신이 직접 살인을 저지르고 쓴 살인 기록이다 "라는 악플을 인터넷에 남길 정도이다. 그런데 이런 댓글들이 마냥 어처구니없다고 할 수는 없는 게, 그가 책으로 발표한 이야기들은 이미 현실에서 일어난 살인 사건과 매우 닮아있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그는 진짜 살인자가 맞는 걸까?

소설 [지하실의 새]는 굉장히 음울한 면이 있고 잔인한 묘사도 많다. 그렇다고 독서가 마냥 기분이 나쁜 것만은 아니었다. 내가 스릴러 소설에 기대하고 있는 부분을 굉장히 잘 충족시켜 준 소설이다. 우선 이 소설은 독자들의 궁금증을 유발한다. 독자들과 팽팽한 심리싸움을 벌이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어릴 적 기억이 아예 삭제되고 없는 주인공. 그의 기억을 앗아갈 만큼의 트라우마가 있었던 것일까? 매우 궁금했다. 그리고 칼로 종이를 베어내는 순간, 그는 새가 되고 꿈속을 유영하게 된다. 왜 하필이면 새로 변하는 이유와 그 새가 도달하게 되는 곳이 결국엔 실제로 발생하는 살인 현장이라는 사실도 호기심을 자극했다.

그런데, 책을 읽다 보니 영화 [인셉션]이 떠올랐다. 인셉션의 주인공들은 다른 이의 무의식 속으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그들은 특정 방법들을 이용하여 남의 꿈속으로 들어가 기억을 훔치기도 하고 때로는 가짜 기억을 심기도 한다. 그런 경험을 하는 사람들의 경우 꿈과 현실의 경계가 매우 모호해지면서 꿈과 현실이 서로의 영역에 침범하고 간섭하는 일이 발생한다. 주인공 김하진이 칼로 무엇인가를 베어내는 동작을 통해 꿈이라는 무의식으로 미끄러져 들어가게 된다는 사실과 꿈속이지만 생생한 현실을 마주하게 된다는 설정이 바로 이런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감추어진 기억과 상처들이라는 무의식은 언제, 어떤 모습으로 의식이라는 공간으로 자신을 드러낼지 모른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 같기도 했다.

이미 발생한 살인 사건을 너무도 생생히 다루고 있고, 일반인들은 모르고 경찰들만 알 수 있는 아주 세부적인 사항까지도 글로 옮겨놓은 터라, 김하진 작가가 몇몇 해결되지 못한 살인 사건의 범인이라는 강한 의심을 받게 된다. 독자들의 댓글은 무시하고 넘어갈 수도 있지만 그의 뒤를 쫓는 형사와 경찰이라는 법망까지 무시할 수는 없는 노릇. 이제 칼자루는 김하진 본인의 손에 쥐어졌다. 그는 이제 본격적으로 어둠 속에 묻혀있던 과거의 기억과 무의식을 추적하는 일을 시작하게 되면서 자신을 길러준 보육원이 존재하는 고향땅으로 내려가게 되는데....

소설 [지하실의 새]는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더 재미있었다. 스릴러 소설인데, 공포소설에 가까울 정도로 잔인하고 소름끼치는 장면이 많다. 그러나 서사구조가 탄탄하고 설득력이 있다. 처음에는 밑도 끝도 없는 기억 상실증이라고 생각했는데, 결말 부분에서 충격적인 이유가 고스란히 드러난다. 이미지가 굉장히 생생하게 다가온다고 생각했는데, 작가님이 평소에 영화에 조예가 깊은 사람이란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소설이 만약에 영상화가 된다면 좀 충격적이지만 아주 인기 있는 영화도 거듭날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아주 스릴감 넘치고 섬뜩했던 이야기 [지하실의 새]

* 출판사에서 받은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리뷰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