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종의 나라 - 왜 우리는 분열하고 뒤섞이며 확장하는가
문소영 지음 / 은행나무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돈, 손절과 리셋, 반지성주의, 하이브리드 한류, 신개념 전통,

일상의 마이크로 정치, 포스트 코로나와 인공 지능

7개의 키워드로 바라본 이상하고 아름다운 한국 문화


한국적인 모든 것이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이때,

문화와 트렌드 분석을 통해서 진정으로 한국의 정체성이 무엇인지 짚어내는

저자 문소영 씨의 책 [혼종의 나라]를 읽게 되었다. 신문 기자라는 직업의 특성에 맞게

그녀는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흐름을 잘 읽어내는 것으로 보인다.


어린 시절, 그녀는 삼베옷을 입고 물동이를 머리에 얹은 시골 처녀와 같은

소박한 이미지가 대표하는 한국의 모습이 싫었다고 한다.

그러다 백과사전에서 발견한 고려 불화가 굉장히 화려하고 신비로움으로

가득한 그림이라는 것을 발견하고는 뛸 듯이 기뻐하게 된다.


분명 한국의 것이지만 매우 이국적인 그림이었던 불화를 보고 난 뒤

그녀가 마음속에 품게 된 질문은 " 과연 한국적인 게 뭘까?"였다.

이 책에는 영화 "기생충" 과 한류 아이돌 BTS 등등 세계인에게 영향을 미친

다양한 문화 콘텐츠들을 비롯하여 전통으로 내려오는 달 항아리나 동상 같은

구체적 사물도 등장한다. 7가지 키워드와 다양한 소재를 통해 현 한국의 모습을

날카롭게 조명하고 있는 [혼종의 나라]


첫 번째 키워드인 "돈"이 전부가 되어버린 한국에 대한

저자의 의견이 흥미로웠다. 우리가 언제부터 소위, 부자 나라가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어느덧 종교처럼 자본주의를 숭상하게 되었다는 저자의 말.

그러고 보니, 예전에 비해서 돈을 추구하는 걸 숨기지 않고, 오히려

자랑하는 사회가 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정신적 가치가 사라져버린 자리에

종교적 자본주의가 들어섰고 이에 따라 새로운 가치 체계가 시급하다는

저자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게 되었다.


그러나 자본주의의 득세는 세계적인 추세인 듯?

가난한 자의 자괴감과 부채감을 블랙 유머를 섞어서 절묘하게 표현해낸

영화 "기생충"이 전 세계인들에게 어필할 수 있었다는 저자의 분석에

큰 공감을 할 수 있었다.


젊은이들 사이에 지배적인 "리셋"이라는 개념은

웹 소설 [내 남편과 결혼해 줘]와 같은 드라마가 인기를 끄는 이유이고

평등주의와 실용주의가 빚은 "반지성주의"에 대한 저자의 경고와 주의에도

큰 공감이 갔다. 전문가라면 대중들과 끊임없이 소통하려는 자세가 필요함을 느꼈다.


이외에도 외국인들이 제일 좋아하는 한국 음식이 프라이드치킨이고

오징어 게임이 할리우드 색채를 많이 띄고 있었기에 성공할 수 있었다는

그녀의 주장, 즉 하이브리드 한류라는 개념도 꽤 흥미로웠다.

" 한국적이지 않은 동시에 한국적인 것", 즉 전통문화에 미친 외국 문화의

영향력을 충분히 수용해야 한다는 것이 그녀의 의견이었고,

나도 옳소!라고 박수를 치고 싶었다.


예전에는 조용한 아침의 나라라고 불린 적도 있는 한국

당시에는 한국하면 북한이라고 잘못 이해하는 외국인들도 많았을 것이다.

우리의 것이 세계인들에게 어필하기 시작한 때가 과연 언제였을까?

꼬집어서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이제 한류는 걷잡을 수 없는 거대한 파도가

된 듯하다. 저자 문소영 씨의 책 [혼종의 나라]는 이렇게 세상을

휩쓸고 있는 한류의 본질과 한국인의 정체성을, 7가지 키워드와

여러 가지 소재를 통해서 날카롭고 통찰력 있게 짚어낸다.


다양한 문화 콘텐츠 [ 영화, 소설, 그림, 웹 드라마 등등 ]가

많이 언급되어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었던

완전 재미있는 인문 비평서 - 혼종의 나라





* 출판사에서 받은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리뷰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