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통에 관하여
정보라 지음 / 다산책방 / 2023년 8월
평점 :
" 고통과 쾌락의 근원은 같은데 너는 어디로 가려는 거지? "
인간의 삶은 고통의 바다라는 말이 있다. 우리 인류가 굉장히 고통에 취약한 신체나 심리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일지도 모르겠다. 아니면 인간이라는 존재 자체가 스스로 고통을 일으키는 존재라는 생각도 든다. 뉴스에서는 하루에도 몇 번씩 가족을 학대한 가장이나 부모에게서 학대받은 아이들의 소식이 들려온다. 신체적인 고통이든 아니면 심리적 고통이든 평생을 고통에 시달리며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의 정신 상태는 과연 어떨까? 이 책 [고통에 관하여]는 인간이라면 겪을 수밖에 없는 이 "고통 " 문제를 근원적으로 다루고 있다.
보통 장르 소설로 분류되는 책을 읽을 때, 대부분은 소설 속 내용과 내 삶을 분리시키는 게 가능했다. 소설 속에서 누가 어떤 범죄를 당하든 어떤 고통을 당하든 그건 내 문제가 아니고 가상 현실 속 " 그들 " 문제이니까. 그냥 재미가 있으면 그만이었다. 그런데 이 소설은? 조금 달랐다. 소설 속 등장인물들이 겪는 고뇌와 고통이 그야말로 온몸으로 체감되었다. 물론 사이비 교단이나 제약회사의 음모 등등 현실적으로 나와 전혀 관련 없는 내용들이긴 하지만 등장인물들이 겪는 고통과 고독 그리고 외로움 등이 너무나 공감이 되었다고 할까?
생각해 보니까 내가 더 공감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소설에 나왔던 등장인물과 조금 비슷한 경험을 했기 때문이라는 생각도 든다. 부모의 학대로 인해서 배우자 현을 만나기 전까지는 제대로 인간다운 삶을 경험하지 못했던 주인공 경. 평생 치유되지 않는 질환으로 시달렸는데 그걸 공감하지 못하는 가족들과 주위 사람들로 인해서 진한 고독을 겪어야 했던 등장인물 욱. 특히 이들의 심리적 상태가 내게 절절하게 다가왔다. 나의 경우, 한때 몸이 많이 아파서 아무 일도 못해서 그냥 집에서 쉬었던 적이 있는데, 그때 힘들었던 이유는 몸도 몸이지만 내가 겪는 고통을 다른 사람들은 전혀 공감하지 못하는 것 때문이었다. 내가 아파할 때마다 더 냉정해졌던 가족들을 보면서 진짜 진한 외로움을 느꼈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그때 생각이 정말 많이 났다.
이 책 [고통에 관하여]가 단순 장르물이라 여겼기에 처음엔 그저 가벼운 재미만을 찾아보려 했었다. 스토리라인은 장르물의 그것과 많이 닮아있긴 했다. 교인들에게 일부러 고통을 주어서 통제하려는 사이비 교단의 사람들.. 겉으로 보기엔 고통을 줄이려는 목적의 약을 개발한 것 같지만 사실은 이후 더 큰 고통을 안겨주는 약을 생산한 ( 것처럼 보이는 ) 제약회사... 마치 제약회사와 사이비 교단이 합심하여 사람들을 좌지우지하려는 음모처럼 보였다. 그러나 이 소설은 내 생각과는 조금 다르게 진행되었다. 사건 위주로 스토리가 이어지는 그런 소설이 아니었다고 할까? 그것보다는 고통을 직, 간접적으로 겪어야 했던 사람들의 복잡한 심리적 상태에 더 초점을 맞추는 이야기였다. 그래서인지 가벼운 재미라기보다는 명상이나 성찰 그리고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깨달았을 때 느끼는 그런 깊이 있는 재미가 있었다.
이 책의 스토리라인에 대해서 언급하는 것은 조금 힘들다. 한 소설 안에서 작가가 독자들과 많은 생각을 나눠보려 한 것 같다. 나의 경우 전체 스토리라인보다는 이 책에 등장하는 인물에 대해서 더 많은 관심이 갔다. 특히 인생이 주는 고통이라는 감옥에서 탈출하려고 애썼고 끝내 탈출했던 주인공 경과 인생의 모순을 끌어안고 살면서도 여유가 있어 보이는 주인공 륜 형사의 삶에 관심이 갔던 것 같다. 이들 두 인물을 통해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게 뚜렷이 느껴졌다. 내가 좋아하는 불교 교리와 언뜻 맞닿아있다는 느낌도 들었다. 인간과 인간이 겪는 고통을 바라보는 관점에 자비가 스며들어 있다고 할까? 인류에게 폭력을 자행하고 고통을 일으키는 모든 것들에 온몸으로 반대하는 소설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생각했던 종류의 소설은 아니었지만 근원적 질문을 던지는 깊이 있는 책이라서 정말 좋았다. 굉장히 색달랐고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 소설 [고통에 관하여]
* 출판사에서 제공한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리뷰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