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실의 조건 - 철학이 진실을 구별하는 방법
오사 빅포르스 지음, 박세연 옮김 / 푸른숲 / 2022년 4월
평점 :
무지해도 당당한 사람들이 판치는 지금
진실을 지키기 위한 철학적 사고법!
진실과 거짓이 서로 팽팽하게 대결하고 있는 지금, 세상은 진실 찾기에 돌입한 것처럼 보인다 출처가 없고 증거를 찾을 수도 없는 가짜 뉴스들이 인터넷을 떠돌고 있고,
대중들은 전문가의 지식을 신뢰하기 보다는 1분 만에 찾아낸 인터넷 검색 결과를 더 신뢰한다.
권력을 가진 전 세계 정치인들은 진실을 적극적으로 왜곡하고,
분열의 씨앗을 뿌리며, 지식의 출처에 대한 신뢰마저 무너뜨리는 행동을 한다.
이 책 [진실의 조건]을 쓴 스웨덴이 철학교수인 오사 빅포르스는 현재 우리는 포스트 트루스 시대, ( 탈 진실: 진실보다 개인적 믿음과 감정이 여론 형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시대)에 살고 있다고 한다.
제목에 등장하는 alternative facts, 즉, 대안적 사실이라는 표현이 현재 우리가 처한 상황을
상징적으로 대변하고 있다고 말하는 저자. 백악관 대변인이었던 션 스파이시는 트럼프의 대통령 취임식에서 역사상 최대 규모의 군중이 집결했다고 했지만, 이는 명백한 거짓이었다. 그러나 포스트모던 시대, 즉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객관적 현실에 대해 의문을 품는 시대에 접어들면서, 선전과 거짓 정보에 대해 “이것은 거짓이다”라고 손쉽게 대응할 수 없다는 점에 대해서 저자는 안타까워한다.
그러나 과연 “대안적 사실”이라는 게 존재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던지는 저자, 인간은 결핍투성이기에 논리의 오류에 쉽게 빠질 수 있다는 게 저자의 의견이다. 사실 인간은 지식 저항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일단은 본인의 믿음이 우선시 된다는 게 저자의 생각이다. 그러나 저자는 “믿음이 아무리 강력하다 하더라도 지식과 같지 않다”라고 판단을 내린다. 믿음이 실제 진실이 아니라면 우리는 아예 뭔가 알고 있는 게 아니라는 것이 저자의 의견이다.
그렇다면 이 “대안적 사실”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저자는 포스트모더니즘에서 기인한 사실적 허무주의라는 이념에 초점을 맞춘다. 사실적 허무주의는 진실 혹은 거짓인 세상에 대한 사실적 진술 존재 자체를 부정한다. 즉 다시 말하면, 지구가 둥글지 않을 수도 있고, 사과가 땅에서 떨어지지 않을 가능성도 내포하는 것이다. 사실적 허무주의자들은 진실과 거짓이 충돌하고 모순이 발생하더라도 크게 개의치 않는다. 오사 빅포르스는 사실 허무주의란 철학의 대량 살상무기와도 같다고 말하기까지 하며 비판한다.
그녀는 반대 증거가 충분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짓된 사실에 믿음을 가지는 악순환이 발생하는 이유로 인간이 가진 다양한 인지 왜곡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그중 몇 가지 소개하자면 첫 번째로 확증 편향이 있다. 우리는 자신이 이미 믿고 있는 것을 확인 시켜주는 정보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는 게 인간의 속성이라는 것.
두 번째로 ‘정치적으로’ 의도된 합리화가 있다. 이것은 자신이 지지하는 정치적 이념적 집단의 믿음과 일치하는 믿음을 고수하길 원하는 심리 기제이다. 마지막으로 역화 현상이라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믿음이 증거가 부족하거나 거짓이라는 것을 알더라도 오히려 우리의 믿음에 반하는 증거가 믿음을 더 강화시킬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가짜 뉴스의 범람과 잘못된 믿음으로 인한 편향을 극복하기 위해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우선 그녀는 교사의 개입이 최소화되고 학생들 스스로 학습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방식인 "구성주의" 교육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한다. 교수법이 개별화되고 정형화된 교과 내용이 최소화되자 현실을 바라보는 공유된 인식이 해체되고 양극화가 심화되는 결과가 나왔다는 것이 그녀의 주장. 학교에서는 교육을 바꿀 필요가 있고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인식 왜곡에 맞서고 비판적으로 사고해야 할 책임이 있다고 말하는 그녀, 예를 들자면 출처의 신뢰성을 주의 깊게 평가하기, 우리가 틀렸을 수도 있다는 생각에 마음을 열어두기, 전문성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기 등등이 있다.
여러 철학 개념과 인지 왜곡과 같은 심리 기제에 대한 전문적 설명 등으로 대단히 어려웠던 [진실의 조건] 그러나 현재 우리가 얼마나 왜곡되어 있고 편향된 지식이나 주장에 쉽게 휩쓸릴 수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상황을 정치인들이 얼마나 쉽게 이용하고 있는지를 알게 되어서 매우 뜻깊은 독서였다. 시간을 충분히 들여서 천천히, 그리고 의미를 곱씹어가면 읽어야 할 깊이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재독, 삼독을 하면 더욱더 독자가 많은 것을 얻어 갈 수 있는 철학서 [진실의 조건] 이었다.
* 출판사가 제공한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