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떻게 지내요
시그리드 누네즈 지음, 정소영 옮김 / 엘리 / 2021년 8월
평점 :
" 내게 필요한 건 나와 함께 있어줄 사람이야 "
나이가 들어가면서 인생에 꼭 필요한 게 무엇일지 생각해본다. 다른 거 다 필요없고 내가 아프거나 슬플 때 곁에 있어줄 수 있는 사람, 딱 한 사람만 있으면 좋겠다 싶다. 꼭 가족일 필요는 없다. 피를 나누진 않았더라도, 마음이 통하는 친구, 안심하고 속내를 털어놓을 수 있는 진실한 친구가 단 한 명만 이라도 있으면 좋겠다. 그런데 그 친구가 스스로 죽음을 택한다고 했을 때, 그 뿐 아니라 그 순간 함께 있어달라고 했을 때 당신은 순순히 받아들일 수 있겠는가?
이 책 [ 어떻게 지내요 ] 는 우정과 공감이라는 주제를 기반으로 여러 이야기를 풀어놓고 있다. 그러나 죽음을 앞둔 친구의 동반자 역할이라는 다소 무거운 소재가 있어서 독자들의 고민을 불러일으킨다. [ 어떻게 지내요 ] 의 주인공은 이름없는 작가인데 ( 아마도 누네즈 자신일 듯 ), 한동안 암치료를 받던 친구가 회복과 재발을 반복하던 끝에 결국 회복 불능이라는 진단을 받는다. 친구는 고통스러운 죽음보다는 안락사를 통해 스스로 생을 마감하겠다는 결정을 내리고는 주인공에게 자신이 죽음을 맞이할 때 곁에 함께 있어달라는 부탁을 한다. 친한 친구로부터 정말 듣고 싶지 않은 부탁일터.... 이럴 때 과연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이 책은 첫 부분은 화자의 전 연인이었던 한 유명 작가의 강연과 그것을 들은 청중들의 반응에서 시작된다. 남성이고 이제 어느 정도 나이가 먹은 유명 작가인 그는, 오염과 기후 변화 등으로 이제 인류는 멸망으로 치닫고 있다고 선언한다. 그리고 이제 지구가 맞닥뜨린 위기 상황을 돌리기에는 이미 늦었다고 말하고 그 어떤 시도를 하더라도 우리는 회복 불가하다는 무시무시한 폭탄 발언을 떨어뜨린 후 자리를 떠나버린다. 사실 이 책을 주로 차지하는 내용은 화자 ( 아마도 누네즈 일 듯한 ) 와 회복 불가능한 상황, 즉 죽음을 적극적으로 맞이하려는 친구와의 대화이다. 이런 상황이 남성인 그 작가의 강연 내용과 대비되면서 극적 효과가 난다.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 의연히 대처하는 친구와 절망이라는 무거운 짐을 함께 기꺼이 지고자 하는 화자의 모습에서 희망과 배려, 진정한 우정 등등의 모습이 보인다.
아마도 주인공과 죽음을 준비하는 친구 둘다 작가라서 그런지 이 책에는 우리의 삶에 예술과 문화가 어떤 가치가 있고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모습이 종종 보인다. 그들은 이런 식의 질문을 그들 자신과 책을 읽는 독자들에게 던진다. 문학이 과연 세상을 바꾸는데 기여를 해온 걸까? 작가랍시고 인생을 허비한 건 아닐까? 책을 읽는 사람들이 문학에서 과연 무엇을 찾고 있는 걸까? 문학이 삶에 과연 의미가 과연 있는 걸까? 문학 덕분에 삶의 변화를 꾀할 수 있는 걸까? 등등등
이 책에 정답이 나와 있지는 않다. 하지만 이 책 자체가 정답이라는 생각이 든다. " 죽음 " 이라는 재앙과도 같은 상황 속에서도 친구와 함께 웃을 수 있는 여유.. 그 담대함과 유연함이라니... 누네즈의 글은 배려심과 지혜 그리고 웃음으로 가득하다. 우리는 인간이기에 절망할 수도 또 희망을 품을 수도 있는 것이다. 늙어가고 질병을 맞이하고 또 언젠가는 죽게 되는 상황... 인류가 기후 변화 앞에서 멸망할 지도 모르는 상황... 그런 상황 속에서도 인간이기에 우리는 분노보다는 인류에 대한 연민을, 두려움보다는 담담히 받아들이는 담대함을 선택할 수도 있다. 누네즈의 책 [ 어떻게 지내요 ] 를 읽으며 글의 아름다움이 마음 속에 가득 피어오르는 것을 느낀다.
" 금빛 시간, 마법의 시간, 뢰르 블뢰. 변화하는 하늘의 아름다움을 보며 우리 둘 다 가만히 몽롱함에 잠기는 저녁 시간. 비스듬히 떨어지는 해의 빛이 잔디를 가로질러 올려놓은 우리 발에 닿는가 싶더니, 느리고 긴 축복처럼 우리 몸을 타고 올라오면, 만사가 아무 문제 없다고 당장이라도 믿을 수 있을 심정이었다. 달을 보라. 별을 세어보라. 거기 당신은 없는 모든 시간이. 그리고 영원히 존재할, 세상이 한없이. (조이스.) 한없이 풍요롭고 한없이 아름다운. 다 괜찮을 거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