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무섭고 애처로운 환자들 - 치료감호소 정신과 의사가 말하는 정신질환과 범죄 이야기
차승민 지음 / 아몬드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들은 사건의 가해자이면서 동시에 치료받지 못한 정신질환의 피해자이다 "

언젠가는 이런 책이 나와야할 거라고 생각했는데, 아주 시기 적절하게 출간된 것 같다. 갈수록 강력범죄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범죄자들의 연령도 낮아지고 있고. 단순히 처벌만 강화하는게 범죄율을 떨어뜨리는 정답은 아니라고 본다. 범죄가 왜 발생하는지 우선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지 않을까? 그런 면에서 이 책 [ 나의 무섭고 애처로운 환자들 ] 이 일종의 가이드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저자인 차승민 님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 현재는 치료 감호소로 알려진 국립법무병원에서 일하고 있다. 그는 여기서 일하면서 만난 수많은 범죄자이면서 동시에 환자인 사람들의 사례를 들면서 일반인인 우리가 특정 범죄 ( 정신 질환에 의해서 발생한 범죄 ) 에 대해서 어떤 눈으로 바라보면 좋을지에 대한 의견을 제시한다.

여기에 나오는 여러 사연들 중에서, 눈에 띄는 몇 가지가 있었는데 먼저 PC 방 살인 사건의 피의자 김성수에 관한 이야기였다. 그는 아버지에 의한 가정 폭력에 시달린 나머지, 평생 우울증과 낮은 자존감을 가지게 되었고, 결정적으로 자신을 무시하는 듯한 사람에 대해서 분노가 폭발하는게 문제였다. PC방에서 아르바이트생을 죽인 이유도 그가 자신을 무시하는 듯한 발언을 해서였는데, 저자는 김성수가 좀 더 일찍 치료를 체계적으로 받을 수 있었더라면 사건이 일어나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고, 가정 폭력의 희생자들이 나중에 커서 가해자가 될 수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

치료가 적절히 잘 이루어진 사연도 있었다. W 라고 불린 한 환자는 소위 말하는 변태 성욕자인데, 어릴 때 어머니에게 제대로 사랑을 받지 못한 케이스였다. 어머니와 가장 애착을 느꼈을 떄가 어머니의 발을 붙들고 잠을 잤을 때였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여성의 발에 성적인 집착이 생겨서 여러번 교도소를 갔다고 한다. 이 사람은 남성호르몬이 과다 분비되는 것으로 진단받아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 화학적 거세 " 치료를 받았는데 ( 영구적인 거세가 아니었음 ) 일정 시간이 지나면 치료를 받지 않아도 됨에도 불구하고 계속 치료를 받아 정상적인 일상을 영위하고 있다고 했다.

물론 위의 케이스처럼 가정 폭력이나 방임, 학대의 피해자가 정신 질환자가 되어서 나도 모르게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도 많지만 정말 치료가 쉽지 않은 경우도 있다고 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 안티 소셜 " 즉 싸이코 패스라고 하는데, 이런 사람들은 보통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 초자아 " 즉, 양심이 있어야 할 자리가 뻥 뚫린 경우가 많다고 한다. 예전에 모 시사프로에 나왔던 목사 - 사람들에게 서로 뺨을 떄리게 했던 여목사 - 의 예를 들었다. 신자들의 재산을 빼앗고 해외로 보내서 노동을 착취했던 그녀는 감옥에서도 너무도 당당한 그녀의 예를 들면서 세상에서 제일 고치기 힘든 환자가 바로 싸이코 패스라는 이야기를 한다. 점점 양심을 잃어가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것 같은데... 이 일을 어쩌나?

이 책을 읽어보니 가정과 가족의 사랑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또 한번 꺠닫게 되었다. 정신 질환에 의한 범죄자의 대다수는 가정 폭력 ( 학대, 방임 등등 ) 에 시달린 사람들이었다. 물론 남들에 비해 폭력 혹은 성 충동이 강한 사람들의 예도 있었지만, 부모가 양육 과정에서 적절한 훈육을 하고 애정을 베풀면 올바르게 자랄 수 있다는게 저자의 핵심인 듯 하다. 그 예로, 전형적인 사이코패스의 뇌를 골랐는데 그것이 바로 자신의 뇌였다는 한 미국인 정신과 의사의 이야기가 나온다. 그는 남들에 비해 감정이 결핍된, 다소 냉혹한 인간으로 태어났으나 적절한 양육을 통해서 올바른 사회인으로 커나갈 수 있었다. 저자는 말한다, "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말자 " 고. 우리가 두려워하는 괴물같은 인간이 사실은 또다른 끔찍한 범죄의 희생양이었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 고마운 책 [ 나의 무섭고 애처로운 환자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