끌림 세라 워터스 빅토리아 시대 3부작
세라 워터스 지음, 최용준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티핑 더 벨벳 ( 끌림의 전 작품 ) 을 읽기 전에는, 세라 워터스와 레즈비언 문학 그리고 역사물에 약간의 편견(?) 이 있었던 게 사실이다. ( 역사물 별로 안 좋아함 ) 책의 두께도 만만찮고해서 혹시나 지루하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웬걸, 티핑 더 벨벳을 읽고 나는 그녀와 그녀의 작품에 반해버렸다. 물 흐르듯 읽을 수 있고 책의 배경이 되는 시대로 타임머신을 타고 날아간 듯한 기분을 느끼게 해주는 생생한 이미지 묘사. 그리고 호감가는 캐릭터들, 세라 워터스의 진면목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왜 진작에 읽지 않았는지 후회 막심이다.

끌림은 마거릿 프라이어라는 이름의 한 상류층 여성에 관한 이야기인데, 그녀의 인생이 순탄치가 않다. 너무도 사랑했던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어머니는 잔소리꾼에 지나치게 그녀에게 집착한다. 마거릿의 전 여자친구는 남동생과 결혼해서 아이를 낳았다 ( 설상가상 ) 아버지의 죽음과 연인의 배신으로 충격을 받은 그녀는 불안증과 불면증으로 매일 수면제를 복용하다가 결국엔 자살기도까지 하게 된다. 하지만 자살이 실패로 돌아간 후, 그녀는 밀뱅크 교도소를 방문하면서 수감자들과 이야기를 하며 시간을 보내게 된다.

​그녀는 감옥에서, 이상하지만 묘한 매력이 있고 수수께끼같은 비밀을 가진 듯한 여인을 만나는데, 그녀의 이름은 셀리나 도스. 그녀는 영매인데 자신의 점괘가 빗나가는 바람에 감옥에 갇히게 된 불행한 여성이었다. 둘은 점점 서로에게 끌리게 되고 감정적으로 친밀해진다. 고딕 소설이라고 할까? 소설 전반에 뭔가 오싹한 느낌이 감싸고 돈다. 어두움과 음울함이 감도는 가운데, ( 아마도 셀리나가 영매라서? ) 도스가 갇혀있다는 사실이 뭔가 잘못되었다는 느낌이 든다. 그녀는 과연 사기꾼일까? 진정한 영매일까?

여주인공 마거릿 프라이어는 사실 남들에게 쉽게 영향을 받고, 주체성이 부족한 여성이다. 스스로 도저히 통제할 수 없는 것 같은 우울증이나 불안증에 항상 시달리고 괴로워하는 캐릭터이다. 나도 상당히 예민했던 20대에는 우울과 희열을 반복하며 널뛰기를 많이 했었다 ( 일종의 조울? ) 기분 좋을 땐 며칠을 밤새서 일해도 거뜬하고 우울할땐 이불 속에서 못 나오고 등등.. 그래서인지 마거릿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다. 인간에게는 누구나 취약함이 있지 않나?

​사실 마거릿의 취약함이 이야기 구성의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사랑에 쉽게 빠지고 또 쉽게 흔들리는 마음.. 그런 마음이 그녀로 하여금 도스에게 반복적으로 돌아오게 만드는 것이라고 본다. 도스에게 집착하듯 매달리고 신처럼 거의 숭배하다시피 하는 부분이 이 소설의 핵심인 듯 하다.

​그렇다면, 과연 결말은? 이 작가의 다른 소설에서처럼, 역시나 독자들의 뒷통수를 때리는 반전이 있으니 기대하시라. 그녀의 소설에는 '~ 그래서 그들은 영원히 행복했습니다 ' 라는 결말은 없는 듯 하다. 또 하나의 충격적인 결말이 기다리고 있다. 이 책은 바람이 불고 비가 살짝 오는 조금 어둡고 흐린 날에 읽어주면 좋을 듯 하다. 감옥이라는 배경이 전달하는 끔찍함과 유령 소환술의 으스스함이 날씨와 좋은 매치가 될 것이다. 어쨌든 이 책은 전체적으로 완성도가 높다. 플롯은 잘 짜여져있고 사람들이 좋아할 만한 요소를 갖추고 있다. 서스펜스, 공포심을 유발하는 분위기, 초자연적인 요소, 심리적 불안감, 사회적 낙인과 같은... 그런 것들. 너무너무 재미있는 소설 [ 끌림 ]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