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트로글리프 - 과학스토리텔러 1기 당선작
전윤호 외 지음 / 동아엠앤비 / 2020년 7월
평점 :
절판




미래가 어떤 식으로 펼쳐질지 알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어떻게 상상하건 그것은 개인의 자유인 듯 하다. 현재보다 어둡고 암울하건 아니면 밝고 긍정적이건 간에... 다양한 시도를 통한 SF소설을 통해서 독자들은 새롭게 변모한 세상과 인류 그리고 새로운 존재와 조우할 수 있다. 그게 SF 소설의 매력이 아닐까? ( 생소한 언어와 개념으로 다소 어렵긴 하지만 )

SF 단편집 [ 페트로글리프 ] 는 2020년 7월 한국과학창의재단 주관, 동아에스앤씨가 진행한 ' 2019년도 과학스토리텔러 1기 양성 과정 ' 당선작 모음이라고 한다. 참여했던 30명의 수강생 가운데 우수작으로 뽑힌 8명의 단편을 선정해 수록한 작품집인데 각 작품들이 나름의 개성이 있어서 아주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특히 여러 단편들을 가로지르는 소재로 쓰이는 것이 바로 뇌와 컴퓨터의 인터페이스를 가리키는 BCI 라는 것인데 주로 인간이나 동물의 생물학적인 뇌가 지니는 한계점을 컴퓨터가 보완한다는 내용과 관련된 소설이다. 첫번째 작품인 [ 노인과 지맥 ] 그리고 이 단편집과 같은 제목을 가진 단편 [ 페트로글리프 ] 에서도 BCI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BCI 란? BCI 기술은 뇌파를 이용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두뇌의 정보 처리 결과인 의사결정을 언어나 신체 동작을 거치지 않고, 사용자가 생각하고 결정한 특정 뇌파를 시스템의 센서로 전달하여 컴퓨터에서 해당 명령을 실행하게 된다. [ 네이버 지식백과 중 ]




이 단편소설집에 속한 단편들은 모두 매우 흥미로웠지만 그 중에서도 재미있었던 것은 바로 [ 노인과 지맥 ], [ 라움의 꽃다발], [ 로봇과 개], 그리고 [ 페트로글리프] 였다.

[ 노인과 지맥 ] 에서는 BCI 기술을 통해서 택배 직원으로 길러지는 침팬지 ( 지맥 ) 이야기가 등장한다. 그들은 증강된 지능을 통해서 인간처럼 물건을 싣고 나를 수 있고 인간의 언어를 이해할 수 있다. 그러던 어느날 한 침팬지가 고객인 노인 박영호를 공격하게 되고 그들을 관리하는 김우진 매니저는 그 이유를 알지 못해 쩔쩔매는데.............

* 솔직하게 말하면 인공지능을 이용한 동물의 색다른 변신이 약간 불편하게 느껴졌던 작품이다. 하지만 인간과 동물이 소통이 깊이있게 이루어지는 날이 오면 그들의 권리도 더 높아지지 않을까?

[ 라움의 꽃다발 ] 에서는 외계식물이라는 소재를 통해서 인간과 동물의 교감을 넘어선, 외계 식물과 인간의 아름다운 교감이 펼쳐진다. 주인공 선우는 지구에 우후죽순 자라났던 외계수들을 처단하는 군인이었지만 제대하고 난 뒤엔, 집으로 날아든 외계수 씨앗 하나를 키워내기로 결심한다. 어느덧 완전한 외계 식물로 자라난 씨앗은 선우에게서 의사소통하는 법을 배우고 그들은 이윽고 사랑과 같은 감정에 빠지는데...

* 이질적인 존재들이 만나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이 매우 아름답고 생생하게 그려지는 작품이다.

[ 로봇과 개 ] 에서는 멸망한 지구에 버려진 한 공격용 로봇 ( 너무나 순한 로봇으로 드러남 ) 과 로봇개에 대한 이야기가 등장한다. 무언가를 피해 다른 행성으로 도망가버린 인류, 그리고 남아있는 공격용 로봇들... 마치 스타워즈나 블레이드 러너와 같은 황량하기 그지 없는 SF 영화들을 떠올리게 만드는 단편이었다. 까칠하지만 공격용 로봇에게 끝까지 의리를 지키는 로봇개를 보고 눈물이 글썽했다.





마지막으로 단편 [ 페트로글리프 ] 의 경우... 사실 용어 하나하나를 이해하기가 매우 힘들었다. 페트로글리프라는 것의 원래 의미는 " 암각화 " 인데 동굴 벽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선사시대 우리 조상들이 감각으로만 인지했던 외부세계를 그림을 통해서 함께 공유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 같았는데... 이 단편에서는 앞에서도 이야기했던 BCI, 즉, 인간의 뇌와 컴퓨터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모두의 생각과 감각을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하고자 하는 희망을 그리는 소설인 것 같았다.

[ 페트로글리프 ] 와 동명의 제목을 가진 페트로글리프에서는 인간의 감각질을 있는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세계를 구현하려던 한 교수에 의해서 그 프로토타입이 완성된다. 프로토타입이란 “ 타인과 공유할 수 있는 감각질 공간. 감각질은 감각과 기억의 개념정보들이 구성하는 통합정보구조의 형상. 참여자는 이 통합정보구조의 좌표를 새기는 방식으로, 자신이 가진 특정 순간의 감각질을 공유감각질 공간에 구현할 수 있다. [ 책 중에서 ]


단편 [ 페트로글리프 ] 는 이해하기가 매우 어려웠지만 그만큼 흥미로운 단편이었다. 우리가 느끼는 모든 공감각 - 시각, 청각, 촉각 등등과 머리 속에 집약된 정보가 세상에 그대로 쏟아져서 모든 사람들이 함께 느낄 수 있고 볼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다면 과연 그 세상은 천국일까? 지옥일까? 분명히 혼란이라는 단어가 동반된 세상은 맞을 것 같다. 내가 이 단편을 제대로 이해나 한 건지도 모르겠다 사실은...

우리의 자손들이 누리게 될 지구의 미래는 과연 어떠할까? 각자의 개성이 듬뿍 담긴 단편집 [ 페트로글리프 ]


발전하는 기술과 우리가 공유하는 사회에 대한 각 작가들의 빛나는 상상력이 너무나 돋보였던 단편집이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