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옳다 (들꽃 에디션)
정혜신 지음 / 해냄 / 2018년 10월
평점 :
품절




지금, 마음이 어떠세요?

나와 당신의 마음을 만나는 일은

꽃 본 든 반겨야 할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일입니다.

나무 하나를 떠올려보자. 튼튼한 몸통과 줄기를 가져서 기댈 수 있고 이파리가 무수히 달려서 여름엔 시원한 그늘을 제공하고 비가 오는 날엔 우산이 되어줄 수 있는 그런 나무. 나에게 그런 나무가 되어줄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혹은 내가 다른 사람에게 그런 나무가 되어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우리는 못 살겠다고, 죽겠다고 외치는 이유가 경제 때문이라고 하지만, 글쎄?? 과연 그럴까?? 돈이 없어서 우울한 건가? 아니면 나의 그런 처지를 함께 나눌 좋은 사람이 없어서 우울한 건가? 저자이신 정신과 의사 정혜신 박사님은 " 공감 "이라는 것이 이 혼란한 시대를 살아감에 있어서 큰 나무가가 되어줄 수 있다는 것을, 여러 사례를 들어서 설명하신다.





현대인들이 공통적으로 앓고 있는 병이 있는 것 같다. 누군가는 무기력증이라고도 하고 또 다른 사람들은 우울증이라고 하기도 한다. 바쁘게 돌아가는 사회에서 점점 " 나 "라는 존재가 희미해지는 것을 느끼는 사람들. 희미해진 존재만큼 무기력증이나 우울증은 더 커진 것 같다. 예전에 비해서 풍족해진 삶,,,, 우리는 더 행복해야 하는데 왜 이리 불행할까? 저자 정혜신 박사님은 " 나 "를 인정해 주지 않는 사회를 첫 번째 이유로 돌린다.

책 속엔 하나의 사례로써, 한 성공한 CEO 이야기가 나온다. 그는 주위에 있는 많은 사람들의 선망의 대상이고 당연히 인정을 받으며 살고 있다. 그러나 그런 그가 존재에 대한 굶주림에 시달린다면 그 이유는 뭘까?



그것은 바로 그에 대한 주목이 그의 존재 자체에 대한 주목이 아니라 그가 가지고 있는 외모, 권력, 재능 그리고 학벌에 대한 주목이기 때문이다. 나의 돈, 권력, 학위 등은 진정한 내가 아니므로 그런 사람들도 자기 존재 자체가 주목을 받지 못하면 심한 결핍에 시달린다. 오히려 더 굶주릴 수도 있다고 그녀는 말한다. 전화 한 통이면 언제든 달려와줄 지인이 무수한 그런 사람이,, 모임에 가면 말 한마디와 행동 하나에 사람들이 집중하는 그런 사람이 외로움에 시달린다니... 사람들은 이해하지 못한다. 이해가 잘 안 가는 대목이기도 하지만,, 생각해보면 그럴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주목을 받으면 받을수록 진짜 내 모습이 아닌 가식적인 모습을 보여야 할 수 있기 때문에.. 정신적 에너지가 얼마나 많이 빠져나갈까 싶다.


정혜신 박사님은 모임에서 만났던 30대 한 여성분에 대한 이야기를 예로 든다. 박사님의 눈에 그녀는 너무나 활달하고 밝아 보인다. 근심 걱정이라곤 눈곱만치도 없어 보였던 그녀, 그러나 조금 친해졌다고 싶은 순간, 박사님이 누구인지도 몰랐던 밝았던 그녀는 얼마 전에 자살기도를 했었다고 박사님에게 털어놓는다. 평소에도 " 공감 " 을 통한 " 치유 "를 강조해온 만큼 그 자리에서 그녀의 이야기를 온몸으로 들어준 박사님. 박사님은 이야기하신다. 특별한 위로나 조언을 할 필요가 없었다고,, 그냥 그녀를 위해 집중하고 들어주고 공감해준 걸로 충분했다고.

그럼 " 공감 " 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 막무가내로 들어주면 되는 것일까? 책에서 박사님은 이렇게 말씀하신다. 그저 들어주는 것, 인내심을 가지고 들어주는 것이 아니라 정확하게 듣는 일이라고. 정확하게라는 말은 대화의 과녁이 분명히 존재한다는 뜻이다. 과녁에서 멀어지는 대화는 지리멸렬해진다고 그녀는 말한다.



우리는 지금 어디로 가고 있을까? 그리고 어떻게 살고 있을까? 그림자나 유령처럼 도시의 변두리를 떠돌고 있는 건 아닐까? 구멍 난 가슴에 바람이 휘몰아치는 소리를 들으면서 말이다. 그리고 아무도 공감하지 못하는 처지에 비해서 비관하면서.... 우리는 달라져야 할 것이다. 인간 존재, 마음과 같은 가치들이 물질적 가치보다 우선하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계속 늘어나는, 정신적 장애에 시달리거나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람을 막기 위해서라도. 정혜신 박사님이 이름 붙인 심리적 CPR ( 주목받지 못한 존재에게 시급한 공감과 주목을 해주는 것 ) 을 사회 곳곳에서 시급히 도입해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