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감정이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 뇌과학이 뒤바꾼 자폐의 삶
존 엘더 로비슨 지음, 이현정 옮김 / 동아엠앤비 / 2019년 8월
평점 :
뇌과학이 뒤바꾼 자폐의 삶에 대한 회고록!
표지에 나와 있는 ‘ 자폐 ’ 라는 글자를 보고, 예전 드라마 [ 부모님 전상서 ] 에서 자폐진단을 받은 아이에 대한 부모와 주변사람들의 곱지 않은 시선에 대해서 다루었던 것이 생각이 났다. 이 책의 저자는 어린시절부터 남들과 조금 다르다는 생각은 하였지만, 특별한 장애를 가졌다는 생각을 하지 않고 독립적인 삶을 살아간다. 하지만 정규교육과정에 적응하지 못해서 학교를 중퇴하고 만다. 다행히 그는 기계를 잘 알아서 음향전문가로 성공적인 삶을 살았고, 취미로 포토그래퍼 일도 한다. 그리고 자동차 수리사업소를 세워서 사업을 시작하고 꽤 성공한 삶을 살아간다. 그에게는 가정도 있었고, 친구같은 아들도 있었다.
그러나 그는 나이 마흔이 되어서야 자신이 아스퍼거 증후군이라는 것을 진단받게 되고, 이후 자신의 삶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자신과 같은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기 위해 열심히 강연과 저술활동을 하게 된다. 작가의 말에 의하면 그는 감정을 잘 느끼지 못하고, 상대방의 기분도 읽을 수 없는 즉 공감능력이 없는 사람에 가깝다. 그러던 어느 날 본인의 강연에 찾아온 뇌과학자의 제안에 의해 TMS라는 뇌파자극실험 연구 참여 후 겪게 된 감정의 변화가 자신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이야기로 풀어낸다.
그녀는 자폐에 대한 본인의 관심을 늘어놓기 시작했다.
자폐 증상의 완화법을 찾는 게 목표라고 했다. “TMS 라고 불리는 새로운 기술을 실험 중이에요.
경두개자기자극술의 약자죠. 전자기장을 이용해 뇌 피질에 신호를 유도해내는 거예요.
자폐인들이 타인의 감정을 읽는 능력을 기르도록 돕는 겁니다.”
저자는 TMS 실험에 참가한 이후에 자신에게 많은 변화가 있었다고 고백한다. 상대방의 기분을 공감하기도 하고 또 알아차리기도 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하지만 상대방을 공감할 때 늘 좋은 감정만 있는 것은 아니기에, 치료를 통해 슬픔과 고통 같은 안 좋은 감정 또한 처음 느끼게 된다.
“처음에는 매우 놀라웠다. 다른 사람 앞에서 감정을 내비치기 시작하는 게 어쩐지 부끄러웠다.
낯선 이들의 뉴스 소식 때문에 내가 감정 상해야 할 필요는 없지 않는가,
하지만 신문을 치워버려야 할 정도로 무척 명백한 감정이었다.”(p. 133)
TMS 치료법이 모든 것을 치료해 주지는 않지만, 작가에게는 감정의 지능에 변화를 주어서 상대방에 대한 자신의 감정 상태를 느끼게 해 주고, 또한 공감하는 감정도 느끼게 해 주는 큰 변화를 경험하게 해 준다. 정상인이라고 생각하는 우리 또한 상대방의 의사나 감정을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리 생각하면 크게 다른 것도 아니다. 나와 다른 이유로 차별을 하는 것이 아니라 차이만 인정을 하고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