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메이징 디스커버리 3 : 독일 - 교양만화로 배우는 글로벌 인생 학교 어메이징 디스커버리 3
김재훈 지음, 조성복 감수 / 위즈덤하우스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미재단 영재학교 바이올린 신동 장요한이 독일에 가고 싶다고 하고, 이를 장미그룹 회장이 흔쾌히 승낙을 해준다. 또한 프로젝트 팀을 모집해 다른 나라를 탐방해 보고 행복한 삶에 대해 가장 훌륭한 보고서를 제출한 팀에게 거액의 포상금을 지급하겠다는 것이 장미그룹 장회장의 약속!

 

그들이 프로젝트를 수행할 나라는 독일이다. 장요한을 포함한 성인 6명이 조를 나누어서 미션을 수행하는데, 그들은 독일의 통일, 양면성, 다양성 등에 대해서 출발 전부터 본인의 생각들에 대해 의견을 나눈다.

 

이렇게 7명이 독일에 도착하여 여러 곳을 둘러보면서 독일의 정치, 경제, 사회 안정성 등에 대해서 역사적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시선으로 풀어낸다.

 

“독일인들은 세 명이 모여야 비로소 성냥불을 켠다.” (p.48)

 

독일은 폐허 위에 경제를 재건하여야 했고, 다른 서유럽에 비해 근면한 국민성을 바탕으로 ‘라인 강의 기적’(경제적 기적)을 일구어 낸다. 우리나라 또한 1940~50년대만 해도 매우 가난한 나라였고, 이 가난을 벗어나기 위해 국민들은 힘을 합해 세계가 놀랄 정도의 눈부신 경제 성장을 이루어냈다. 이를 라인 강의 기적에 빗대어 ‘한강의 기적’이라고 표현한다.

 

“쓸 만한 동독 유산인 암펠만 살리기 운동이 전개되다.”

(p. 63)

 

1990년 동독이 서독에 흡수통일 된 후, 동독 지역 신호등을 일반형으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암펠만이 사라질 위기에 처하자 독일국민들이 반대를 하게 되었고, 결국 정부가 철회를 하게 된다. 우리도 통일 국가를 이룬다면 북한지역의 낙후된 시설을 교체하려 할 것이다. 그런 과정에서 우리도 ‘북한의 쓸 만한 유산’은 그대로 유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체크포인트 찰리는 연합군이나 기자, 외국인의 왕래를 감시했던 대표적인 검문소였고,

많은 동독 사람들이 희생을 감수하고 넘으려 했던 경계선이었어. 지금은 관광명소가 되었지.“(p. 70)

 

작년에 ‘꽃보다 할배’프로그램에서 독일 베를린을 여행하는 것이 소개된 적이 있다. 이때 체크포인트에서 할배들이 독일군 복장을 하고 웃으면서 사진을 찍는 장면은 인상적이었다. 지금은 판문점을 사이에 두고 삼엄한 경계 속에 그림자만 넘어가고 각자 자신의 지역을 지켜야 하는 처지이다. 통일이 된다면 이곳 판문점도 유명한 관광명소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여권에 도장을 찍어달라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5천원”주세요 라고 말하는 안내인이 생길까?

 

“빌리 브란트가 무릎 꿇는 모습. 아주아주 역사적인 장면이지.

 

독일이 지난날 일으킨 전쟁과 유대인을 학살한 죄에 대해 진심으로 뉘우친다는 걸 구구절절 설명할 필요없이 행동으로 보여준 사건으로 유명해.

‘바르샤바에서 무릎 꿇다’라는 제목으로 전 세계에 알려졌지.(p. 92)

 

우리나라와 일본과의 대치상황 속에서 과거 과오에 대한 일본이 취하고 있는 반성 없는 일관된 자세에 비해, 독일은 진심이 전해지는 과거의 과오를 속죄하는 자세를 보여줌으로써 이제는 평화에 매진하겠다는 표현의 뜻일 것 같다.

 

 

“한국만 해도 서울과 지역 간 격차가 이만저만이 아니지.”

“독일은 사정이 전혀 다릅니다. “(p. 294)

 

대다수 나라의 정치, 문화, 특히 경제가 수도 한곳에 집중되지만, 독일은 지방분권에 의해서 지역 균형발전이 이루어졌고, 우수한 인적자원들이 자기 고장에서 실력발휘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경제자립도가 높으며, 인재와 노동인구가 수도나 유력도시에 편중되지 않는다. 우리나라 인구의 절반이 수도권지역에 집중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 책을 통해서 통일로 가는 독일의 모습을 보면서 분단된 우리나라는 어떤 모습을 가져야 하는가? 라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독일 또한 전쟁과 분단 그리고 통일이라는 과정을 겪으면서 고통을 분담하면서 성장했듯이 우리 또한 그런 과정을 잘 넘길 수 있다고 본다. 지금부터 차근차근 대비를 해 나가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