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이 필요한 순간 - 삶의 의미를 되찾는 10가지 생각
스벤 브링크만 지음, 강경이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 어떻게 해야 삶의 의미를 되찾을 수 있는가?"
허무주의에 빠지기 쉬운 현대인들. 저자는 유명한 영화 감독인 우디알렌이 기자 회견에서 발언한 짧은 인터뷰를 인용하면서 머릿말을 시작한다.
" 저는 삶이 의미없는 것이라고 굳게 믿습니다. 우주는 계속 무너지고 있고 결국엔 아무것도 없게 될 테죠 "
- 영화 감독 우디 알렌 -
[ 철학이 필요한 순간 ] 의 저자 스벤 브링크만은 독자들에게 질문을 던진다. 과연 우리 삶은 진짜 아무 의미가 없는 건지. 그리고 그는 동시에 답한다. 당연히 삶은 의미가 있는 것이고 허무주의에 빠진 현대인들이 삶의 의미를 되찾기 위해서는 무언가를 성취하거나 얻기 위한 도구적인 일이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이 되는 일과 그 자체를 위해 몰두하는 활동을 해야 한다고.
그런 맥락에서 학문, 예술, 놀이, 사랑 등등의 가치는 쓸모없을 때, 그러니까 어떤 다른 목적을 위해 쓰이지 않고 그 자체로 목적일 때 가장 쓸모가 있다고 말하는 저자.
삶을 보다 의미있는 것으로 만들기 위한 그의 강의.
● 우리가 그 자체를 위해 하는 것이 선이다. - 아리스토텔레스 -
행복과 덕은 상관 관계가 있다고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다. 예로써 선에 토대를 둔 고귀한 우정이 있다. 사람을 도구적 가치로 쓰지 않는 관계는 가능하다. 윤리적인 삶이 이윤만 좇는 삶보다 옳은 이유는 그것이 인간 본성을 더 잘 반영하기 때문.
● 존엄성은 가격으로 따질 수도 없고 대체될 수도 없다 - 칸트 -
사람에게 값을 매기는 현상, 즉 사람을 수단으로 여기는 풍토는 옳지 않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존엄하다는 칸트의 인본주의적 생각을 되살려야한다.
● 인간은 약속하는 동물이다. - 니체 -
두려움과 극심한 공포를 통해 반성적 주체가 등장한다고 믿은 니체. 잘못된 일에 대한 해명을 통해 인간은 책임감 있는 존재로 자라게 된다. 여기서 죄책감은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체성을 확보하고 자기 반성적인 개인을 창조한다.
● 자기란 관계 그 자체와 관계하는 관계다 - 키에르케고르 -
키에르케고르가 이야기하는 자아는 우리 내면에서부터 실현되는 게 아니라 자기 바깥에 있는 다른 존재와의 관계를 통해서 형성된다. 공동체 안에서 소통하는 법을 배우고 살아가면서 경험하게 되는 모든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
철학자들의 다소 어려운 개념의 이론들이 저자의 필터를 통해서 쉽게 설명되어지고 있다. 저자 스벤 브링크만은 말한다. 소위 자기 계발 이론들이 인간의 가치를 높이기보다는 오히려 떨어뜨린다는 것. 결국 철학자들이 이야기하는 의미있는 삶이라는 것은 무언가를 얻기 위해 ( 돈, 세속적 이익 ) 인간을 도구적으로 이용하기 보다는 관계가 목적이 되는 공동체 내에서 남과 나의 삶에 책임을 지며 살아가는 삶이라는 것이 책에 나와 있다.
" 타인은 지옥이다 " 라는 말이 있는데 요즘 들어서 각종 매체에서 많이 인용되고 있는 걸 보면 너도 나도 함께 살아가는 것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는 걸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 책의 저자는 결국 삶의 의미는 " 나 " 만 덩그러니 존재하는 곳에서는 찾을 수 없다고 보는 듯 하다. " 나 " 와 " 타자 " 가 행복하게, 그 자체가 목적으로서 공존할 수 있는 곳에서 결국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말하는 듯 하다. 심리학자이지만 철학이 우리 삶에서 왜 필요한지 정확하게 짚어주었던 [ 철학이 필요한 순간 ]. 참으로 유익한 독서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