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트린느 메디치의 딸
알렉상드르 뒤마 지음, 박미경 옮김 / 레인보우퍼블릭북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카트린느 메디치의 딸 ] 이 책은 프랑스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종교의 대립과 궁중의 권력암투 그리고 사랑과 우정을 담고 있는 책이다.

신교와 구교가 화합하기 위한 정치적 목적에 의해서 마르그리트 공주는 나바르 공국의 앙리 왕자와 결혼한다. 공주는 구교인 로마 가톨릭교에 속해있었고, 신랑은 당시 위그노 파라고 불리던 신교도였다. 그들의 결혼은 바로 고질적인 신구 교도간의 갈등을 봉합하고 종교적 화합을 도모하기 위해 기획된 정략결혼이었다.

하지만 신구교의 화합이라는 애초 목적과 달리 이 결혼식은 안타깝게도 피의 결혼식으로 끝나버렸다. 신교도인 왕자의 결혼을 축하기 위해 전국에서 파리로 운집한 저명하고 부유한 신교도들을 구교도들이 무차별적으로 살해한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이 결혼식장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 혼란스럽고 파괴적인 상황에서 파리의 신교도 대부분이 죽음을 맞이하지만 다행히 새신랑 앙리 드 나바르는 살아남는다. 왕태후 카트린느 메디치는 예전부터 점성술에 푹 빠져있는 상태였는데, 하필 점괘가 자신의 아들이 승계를 하지 못하고 앙리가 한다고 나와 버리게 된다. 그 결과를 본 그녀는 온갖 계략을 이용하여 앙리를 제거하려고 하지만 앙리가 한 수 위였던 것. 카트린느가 깔아놓은 덫과 위기의 순간을 아슬아슬하게 넘기는 앙리의 지략의 장면과 응수는 이 소설의 흥미를 더해준다.

 

내게 수렵 책 한권을 준 사람이 있다. 그가 말하길, 앙리가 그 책을 보면 몹쓸 폐병에 걸려서 죽을 것이라고 하더구나. 그 병은 어떤 방법으로 고칠 수 없다는구나.”(p.255)

 

앙리가 마르그리트와는 정략적인 결혼을 할 수밖에 없었지만 이미 사랑하는 여인을 두고 있었다. 하지만 마르그리트 또한 결혼 후에도 자신을 사랑하는 백작과의 관계를 꾸준이 이어가고 있었다. 그러한 사실은 전쟁중에도 사랑은 꽃 핀다는 말처럼 권력암투의 긴장감 속에서도 서로의 감정에 충실한 로맨스를 보여주는 것 같아서 책의 재미를 더해주었다. 로맨스 뿐만 아니라 이 책 속에는 사나이들의 끈끈한 우정이 등장한다. 그 부분을 가미한 것도 소설의 흐름이 한쪽으로만 치우치지 않게 하는 ( 로맨스로만 ) 작가의 노련미를 보여주는 것 같다. 

 

라 몰! 한순이라도 내가 혼자 떠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건 자네가 날 모욕하는 거야. 난 자네와 함께 살고 함께 죽기를 맹세하지 않았나? 자네가 이렇게 고통을 당하니 내가 자네를 용서하도록 하지.” 그리고 조용히 라 몰 곁으로 가서 친구의 머리를 자신의 품 안으로 끌어당겼다.(p. 323)

 

그녀는 연이어 폭포수 같은 눈물을 흘리며 망토 자락으로 그의 머리를 감싸 안았다. 마르그리트는 질 좋은 향유가 뿌려진 아름다운 천으로 그것을 감쌌다. 거기에는 왕실의 시체 보존에 이용되는 방부 처리가 되어있었기 때문에 그의 머리는 그대로 간직될 것이다. (p. 332)”

 

이 소설을 관통하는 주제인 종요간의 대립과 갈등... 세상은 여전히 그로 인해 고통받은 사람들의 울부짖음이 들리고 있다. 과거로부터 계속 이어져왔다는 사실을 이 소설을 통해서 알게 되니까 아무래도 씁쓸한 마음이 생긴다. 하지만 종교간의 대립, 권력의 향한 암투 속에서도 피어나는 애정과 우정을 아름답게 표현하고 있는 소설 [ 카트린느 메디치의 딸 ]. 프랑스와 주변 국가들 간의 관계에 대해 다루면서 역사적인 실제 사건과 실존 인물을 등장시켜서 생생한 재미를 전달한다. 역사에 대한 지식과 대중적인 재미를 동시에 전달하는 이 책. 이번 주말에 꼭 읽어봐야할 역사 관련 책으로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