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 번째 계절 부서진 대지 3부작
N. K. 제미신 지음, 박슬라 옮김 / 황금가지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 점을 명심하라. 한 이야기의 끝은 새로운 이야기의 시작. 모든 일은 전에도 있었던 일이다. 사람은 죽는다. 옛 질서는 무너진다. 새 사회가 탄생한다. "

SF 가 탄생시키는 놀라운 세계. 그 세계 안에서 작가의 지적 상상력이 꽃핀다. 존재하지 않되 존재하는 고요대륙에 3명의 여인이 있다. 에쑨과 다마야 그리고 시에나이트. 그녀들은 각기 다른 나이와 다른 이름을 가졌지만 공통점이 하나 있다. 그들은 오로진이라는, 땅을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초인류이다. 그들의 감각과 신경 촉수는 대지 안으로 스며들어, 대지를 느끼고 진동을 일으키기도 하고 통제하기도 한다. 그들이 가진 엄청난 잠재적 힘은 사람들에게 두려움을 불러일으켜 사람들은 마치 그들을 괴물처럼 대하게끔 한다. 타고난 힘 때문에 사람들로부터 차별받고 혐오당하며, 심지어는 죽임까지 당하는 특별한 존재. [ 오로진 ]. 이 책은 그들의 탄생과 활약에 대한 이야기이다.

" 세상이 끝났다는 말은 대개 거짓말이다. 왜냐하면 행성은 변함없이 존재하기에, 하지만 이것이 바로 세상이 끝나는 방식이다. 이것이 바로 세상이 끝나는 방식이다. 이것이 바로 세상이 끝나는 방식이다. 완전히 "

이 책은 The Broken Earth Trilogy 시리즈 중 첫번째 편에 해당하는 [ 다섯번째 계절 ] 이라는 제목의 책이다. 여기서 다섯번째 계절이란 겨울이 6개월이상 지속되는 시기를 의미한다. 즉, 빙하기 혹은 소빙하기를 나타낼 수도 있는 것 같다. 이 책의 중심세계인 고요대륙에 다섯번째 계절이 들이닥쳤고, 설상 가상으로 대륙 이쪽 저쪽 마을에 대지의 흔들림 현상이 발생한다. 세상의 파괴와 인간 멸종의 시기가 다가오는 것일까? 이 이야기를 하기에 앞서 위에 이야기했던 3명의 여인의 삶을 살펴보자.

맨 먼저, 에쑨의 이야기. 그녀는 고요대륙의 중심 도시인 유메네스 근처에 자리잡은 소도시 티리모에 살고 있다. 자신의 능력을 숨긴 채 보육교사로, 그리고 두 아이의 엄마로 조용히 살고 있던 에쑨의 삶의 근간을 흔드는 사건이 발생한다. 에쑨의 능력을 물려받은 아들 우체가 [ 오로진 ] 이라는 것을 발견한 남편 지자가 우체를 잔인하게 살해한 뒤 딸을 데리고 어디론가 떠나버린다. 이리하여 정체가 드러나 버린 에쑨은 아들의 복수를 위해 남편을 찾아 길을 떠난다.

" 너는 지자에게 말했어야 했다. 결혼하기 전에, 그와 잠을 자기 전에, 그를 보며 어쩌면, 어쩌면 가능할지도 모른다고 주제넘은 생각을 하기 전에. 그러고도 로가 [ 오로진을 낮춰 부르는 단어] 를 죽이고 싶었다면 그는 그 분노를 너에게 풀었을 것이다. 우체가 아니라. 죽어 마땅한 건 너다. 두 향의 인구의 만 배가 넘도록 "

다마야는 자신이 그 [ 오로진 ] 임을 알게 된 부모에 의해서 어딘가로 팔려갈 처지에 놓이게 된다. 그러던 중 자신을 사러 온 아동매매꾼이라고 생각했던 사람이 사실은 [ 수호자 : 오로진의 힘을 통제하는 집단 ] 이며 그녀를 [ 펄크럼 : 오로진을 훈련시켜서 무기로 만드는 조직 ] 에 데리고 갈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리고 시에나이트. 그녀는 강력한 조산술 [ 산을 움직이는 능력 ] 을 시행할 수 있는 오로진이자 번식자의 계급을 가지고 있다. 본인이 원하지 않는 남자와 함께 번식을 하고 주어진 과업을 달성해야 한다.

이 책은 고요대륙이라는 가상의 세계와 그 중심에 있는 가상의 도시 유메네스 안에서 벌어지는 가상의 이야기를 다룬다. 대지의 에너지를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는 [ 오로진 ] 이라는 종족이 등장하는데 그 중에서도 3명의 여성의 삶에 초점을 맞춘다. 그녀들은 한 마을을 파괴할 수 있는 어마어마한 힘을 가지고 있으나 단지 오로진 이라는 이유만으로 억압을 당하고 차별 받는다. 어릴 때부터 힘을 제어하는 훈련을 받아야 하고 자유라는 것은 있을 수 없다. 오직 특정 계급이나 종족들을 위한 효율적인 무기로 길러지는 [ 오로진 ] 들. 과연 그녀들의 삶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까? 지구행성의 운명은 그녀들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약력을 보니 N.K. 제미신이라는 작가는 어린 시절부터 SF와 환상문학 뿐 아니라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에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 또한 성과 인종 차별 및 여러 정치 사회적 문제에 대해 목소리를 높여 왔다고 한다. 그녀의 작품과 현실에서의 활동은 동떨어지지 않다고 본다. [ 오로진 ] 이라는 특정 종족들은 인간으로 취급되지 않는다. 무지몽매한 [ 둔치들 : 능력을 가지지 않은 그냥 사람들 ] 은 오로진들을 두려워하고 죽이기까지한다. 그러나 갖가지 위험과 어려움을 뚫고 살아남는 강인한 여성들의 모습이 보인다. 누구보다 뛰어난 지략과 강력한 힘을 가진 여인들과 그들이 사람들의 혐오와 차별, 냉대를 이겨내야한다는 사실은, 저자가 본인의 위치로 올라가기까지 느꼈던 사회 속에서의 차별과 동떨어진게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읽다보니 페미니즘을 표방하는 소설인가 싶기도 한데,, 아직은 1권이라 그 느낌은 접어두기로 했다.

어쨌든, 저자가 이 책을 통해서 던지고 싶어하는 화두가 무엇이건 간에, 이 책은 SF 나 환상문학이 독자들에게 전달해 줄 수 있는 최고의 재미를 선사한다. 대지에서 태어나 대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캐릭터들 -- 대지를 움직이는 오로진, 그들을 제압하는 아름다운 수호자들 ----- 의 활약과 신비로운 고요대륙이 나아가는 종말. 종말이라는 상황이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디스토피아적 이미지. 비록 디스토피아적인 상황이나 그 속에서 살아남으려 애쓰는 인간과 인간아닌 존재의 아름다움. 그리고 저자의 세계관이 고스란히 드러난 듯한, 뛰어난 머리를 가진, 강한 힘의 여성들의 활약과 그들을 억압하는 사회의 모습들 등등은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을 한층 책 속으로 몰입하게끔 해준다.

땅에서 태어나 땅으로 이루어진 채 땅을 조종하는 뛰어난 존재인 [ 오로진 ] 들.... 과연 그들의 활약은 2편과 3편에서 어떤 식으로 이어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