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좋은 이별 - 김형경 애도 심리 에세이
김형경 지음 / 푸른숲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풍경>과 <천개의 공감>에 이어 <좋은 이별>에 이르기까지 작가 김형경의 심리에세이를 모두 읽었다. 저자는 아마 요사이 출판계의 심리학 관련 서적 붐을 일으킨 근원지가 아닐까 생각한다. 비단 작가뿐만 아니라 나를 비롯한 오늘날 우리 사회의 대다수가 심리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 같다. 그러기에 심리적 문제상황과 그 치유와 관련된 책들이 끊임없이 출간되고 많은 공감을 얻고 있는 것이 아닐까.
<좋은 이별>은 사람이 살아가면서 불가피하게 경험하는 이별, 상실, 박탈, 결핍에 대한 애도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별, 상실, 박탈, 결핍의 경험에서 비롯된 슬픔, 심리적 어둠, 그림자를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면 우리는 거기서 비롯된 심리적 덫에 반복적으로 걸리고 더이상 성장하지 못하게 된다. 저자는 애도의 과정을 충분히 겪지 못했을 때 겪을 수 있는 여러가지 문제를 개인적 사례와 자신이 즐겨 읽던 문학 작품 속에서 끌어와 정신분석학과 심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사람살이에서 만남과 헤어짐, 삶과 죽음, 젊음과 노쇠와 같은 일은 우리의 힘으로 어찌할 수 있는 영역의 일이 아니다.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일은 진행되게 마련이다. 가야할 것은 떠나 보내야 하고, 남아 있어야 할 것은 제 자리에 남아 있어야만 한다. 슬픔이나 분노, 좌절과 허망함 또한 그러하다. 헛된 욕심으로 스쳐 지나는 모든 것에 부질없이 집착하지 말 일이다. 일찍이 현자들은 이렇게 말했다지 않던가. 배 고프면 먹고 졸리면 잔다.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다. 렛 잇 비(Let it 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