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더 이상 당신의 가족이 아니다 - 사랑하지만 벗어나고 싶은 우리시대 가족의 심리학
한기연 지음 / 씨네21북스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가족이란 무엇일까? 가장 친근하고 오랜 세월 동안 맺어온 인간 관계이기에 그만큼 상대적으로 더욱 고통스럽고 빠져 나오기 힘든 관계는 아닐까? 내가 의식적으로 선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의미에서는 나의 많은 부분을 형성하고 규정하고 억압하는 관계가 가족이란 혈연으로 맺어진 정서적 관계일 것이다. 특히나 여전히 유교적 전통문화와 농촌공동체적인 가족 문화가 지배적인 한국사회에서 가족 사이의 문제는 다른 문화권에 비해 더욱 고통스러울 수 있을 것이다. 

 

임상심리학자이자 상담가인 저자는 다양한 사례들을 제시하며 가족 갈등의 당사자들이 놓치고 있는 부분과 겉으로 드러난 갈등의 배후에 있는 문제의 근원을 성찰하도록 돕는다. 저자가 제시하는 구체적인 조언들을 통해 이상적인 가족의 신화나 가족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객관적으로 가족 간의 문제를 성찰하고, 다른 인간 관계와 마찬가지로 솔직하게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것만이 실재하는 갈등 해결을 위한 출발점이 될 수 있음을 깨닫게 된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연금, 보험, 저축을 능가하는 노후대비'책'
    from 책으로 여는 지혜의 인드라망, 북드라망 출판사 2012-10-30 14:52 
    '두통에는 진통제', '우울증엔 항우울제', '불면증엔 수면제'라는 것이 공식처럼 각인되고 있다. 그러나 시댁과 갈등을 겪는 전업주부의 두통과 학습우울증에 걸린 청소년의 두통이 과연 같은 질병일까. 또 시댁과 갈등을 겪는 주부에게 어깨 결림, 두통, 불면증, 소화불량, 생리통이 동시에 나타났다면, 이는 각각 정형외과, 신경과, 정신과, 내과, 산부인과에서 따로 해결해야 할 병일까. ─강용혁, 『닥터K의 마음문제 상담소』, 12쪽 예전에 손발이 너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