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조단경 - 사람의 본성이 곧 부처라는 새로운 선언 청소년 철학창고 26
정은주 풀어 씀 / 풀빛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육조 혜능의 어록인 <육조단경>은 성서에 있어 <신약>에 해당한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오랜 세월 동안 계를 지키며 선정을 닦아 지혜를 완성해야만 저 피안의 세계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 혜능 이전의 수행전통이었다. 그런데 일자무식 나무꾼 출신의 혜능이 <금강경> 읊는 한 소리에 문득 자성을 깨달아 석가모니에서 달마, 5조 홍인으로 이어진 조사의 자리를 잇게 된 것이다. 그의 주된 가르침은 우리의 자성은 본래 청정하여 부처와 다를 바 없기 때문에 문득 성품을 바로 보아 곧바로 부처를 이룬다는 것이다.



이같은 혁명적인 가르침은 오늘날에도 잘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으로, 쇠위 도를 닦는다는 수행자들이 보여주는 온갖 행태를 보면 잘 알 수 있다. 좌선할 때 자세가 어떻고, 호흡이 어떻고, 화두를 어떻게 들고, 위빠사나가 어떻고, 기운이 어떻고, 업장 소멸을 해야 되네, 삼매를 성취해야 하네.... 끊임없이 밖으로, 어떤 방법을 통해 무언가를 성취하려는 유위적 노력만 추구하고 있다. 흡사 혜능과 6대 조사의 자리를 두고 대결을 펼쳤던 북종선의 대통 신수의 자세와 같다고 할 수 있다. 깨달음의 거울에 때가 묻지 않게 부지런히 닦아야 한다는 점진적 수행론 말이다.



흔히들 선종의 가르침이 경전을 중시하는 교종과 다르다는 편견을 갖는 경우가 많다. 선종에서 표나게 불립문자 교외별전과 같은 캐치프레이즈를 내건 탓이다. 그러나 잘 살펴보면 선종의 가르침에는 대승불교의 주된 가르침이 압축적으로 드러나 있다. 대승불교가 소승과 차별되는 지점이 어딘가하면 중생, 즉 우리 자신을 바라보는 관점이다. 소승의 관점은 중생은 어리석고 미혹하기 때문에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어 번뇌가 소멸된 부처의 자리에 도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생과 부처, 번뇌와 보리, 차안과 피안이 둘로 나뉘어 있다.



그러나 <금강경>, <유마경>, <법화경>, <화엄경>과 같은 대승불교의 가르침은 그렇지 않다. 지금 이대로 온전하여 아무런 모자람이 없다. 중생 그대로가 이미 부처이고, 지금 이 순간 바로 이 자리가 불국토여서 한 걸음도 옮길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육조 혜능의 가르침은 오히려 그러한 교종의 가르침을 더욱 명확하고 직접적으로 가르친 것일 뿐이다. 이 관점의 차이가 모든 수행자들을 차별짓는 것이다. 현상을 이분법적으로 나누어 볼 것인가, 하니면 둘 아닌 하나의 절대적 관점을 고수할 것인가? 둘로 벌어지면 곧바로 소승의 태도, 점수론으로 떨어지는 게 당연하다. 그리고 그런 관점이 일반적이다.



왜냐하면 그것이 현실적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 번뇌와 고통의 세계에서 방황하는 우리 자신이 그대로 부처란 사실을 받아들이고 확인한다는 것은 어쩌면 불가능해 보일 것이다. 오히려 지금 이대로 아무 부족함이 없고, 번뇌의 성품 그대로가 깨달음의 성품이어서 애써 닦고 노력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 허황되게 들리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각종 대승경전에선 이러한 가르침을 '불가사의'하다고 말하고 소승의 아라한들은 이해하지 못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진리는 우리의 상식과 위배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믿음이 강해야 하고 직접 깨달아야만 알 수 있다. 그러하기에 육조 혜능의 가르침이 널리 알려진지가 오래 되었지만 여전히 오늘날에도 열심히 무언가를 해야만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인 것이다.



혜능은 말한다. 자신의 성품을 바로 보라고. 견성하면 곧 부처를 이룬다. 견성성불이다. 성품을 바로 보는 방법은 따로 없다. 길 없는 길이다. 혜능 자신은 우연히 나무 팔다가 누군가가 <금강경> 읽는 소리를 듣고 자신의 본성을 깨달았다. 그가 조사의 자리를 이은 후 다른 사람들의 해코지를 피해 달아나다가 자신을 잡으로 쫓아온 혜명이란 스님에겐 '선도 생각말고 악도 생각말라. 바로 이러할 때 어떤 것이 명상좌의 본래면목인가?'란 말로 그를 깨닫게 했다. 이렇게 깨달음은 쉽다. 왜냐하면 그것이 우리의 본성이기 때문이다. 다만 이 불만족스런 현실에 대한 근본적인 회의, 깨달음에 대한 목마름, 즉 발심을 해야 한다. 그리고 법을 아는 선지식의 직접적인 가르침을 얻을 수 있다면 더이상 바랄 것이 없다.



예나 지금이나 스승의 가르침을 듣고 제자들은 깨닫는다. 석가모니는 45년간 설법해서 무수한 아라한들을 깨닫게 했다. 예수 그리스도도 끊임없이 제자들에게 가르침을 폈다. 오늘날에도 크리슈나무르티 같은 선지자는 어떠한 수행방편도 거부하고, 심지어 그는 스승조차도 깨달음에 있어선 부정하는 절대적인 관점을 대중 앞에서 설파해 왔다. 우리의 잘못된 생각, 뿌리 깊은 어리석음, 그 무명의 실체만 바로 볼 수 있다면, 한번도 확인해 보지 않고 당연시한 우리의 존재의 비밀을 통찰한다면 그 즉시 깨달음을 얻게 되는 것이다. 아니 정확하게 말하면 깨달음을 얻는 것이 아니라, 어리석음과 깨달음 따위와 같은 모든 분별과 망상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것이다. 혜능은 그것을 우리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이 책은 청소년을 위한 철학 시리즈 중의 한 권으로 기획된 것이기에 기존의 딱딱한 한문 번역서보다는 읽기 쉽다. 그러나 청소년들에게는 권할 만한 책은 아닌 것 같다. 여전히 청소년이 이해하기엔 너무나 어려운 내용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불교와 선에 어느 정도 배경지식을 가진 이들이 <육조단경>을 읽기 전이나 읽은 후에 내용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읽어 보며 도움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