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깨달음의 심리학 - 상담학 총서 ㅣ 상담학총서
존 웰우드 지음, 김명권.주혜명 옮김 / 학지사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켄 윌버의 번역서를 읽다가 우연히 존 웰우드에 대해 알게 되었다.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자아초월심리학 내지는 심리학과 영성을 통합한 새로운 정신과학이 그렇게 낯설지 않은 개념이다. 존 웰우드는 30여 년 전부터 심리학과 영성(명상)을 상호보완적으로 통합하는 작업을 해 온 임상심리학자다.
인간의 정신/마음/영혼의 문제를 다루는 심리학과 영성(명상)은 얼핏 비슷하면서도 판이하게 상반된 면을 가지고 있다. 특히 우리에게 개별적 존재로서의 정체성을 부여하는 자아의 문제에 있어서 심리학과 영성(명상), 특히 불교적 명상 체계는 정반대의 입장을 취한다. 심리학이 건강한 자아의식을 형성하고 지지하는데 일조한다면, 영성(명상)은 그러한 자아 구조의 기반이 한낱 환상, 허위임을 밝혀 제한된 자아의식으로부터 해방을 이끌어 낸다.
웰우드는 전문적인 임상심리학자이자 심리치료사로서의 수업뿐만 아니라 오랜 동안 티베트 불교 명상 수련을 통해 이 비슷하지만 다른 두 개의 길이 창조적이며 상호보완적으로 통합이 가능함을 보여 주고 있다. 프로이트와 부처의 결합이라 할 수 있는 웰우드의 작업은 인격과 존재, 세속과 출세간, 물질과 공, 자아와 무아라는 서로 대립된 개념, 상황, 세계를 통일시킨다. 동양적 영성을 현대 서구사회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오랫동안 두 가지 길 모두에서 성실한 수련을 한 그의 통찰력은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는 오늘날의 심리학자뿐 아니라 전통적 영성의 한계에 갖혀 있는 국내의 영성 수련자들에게도 큰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성 수련자들에게 가장 요긴한 대목은, 영적 깨달음이 개인의 심리적 문제나 관계의 문제를 단박에 없애주지 못한다는 점이다. 오히려 그러한 자아와 관계의 문제를 회피, 또는 방어하는 수단으로서 영적인 수행에 이용하는 것을 '영적 우회'라는 인상적인 개념으로 제시한다. 그리고 소위 영적 깨달음 이전과 이후에도 개인의 심리적 문제, 관계의 문제 해결에 있어서 심리학적 접근의 유용성을 설득력 있게 피력하고 있는 부분도 눈여겨 볼 만하다. 불교에서도 진제(眞諦, 절대적 진리)와 속제(俗諦, 상대적 진리)의 문제를 다룬다. 비록 진제외 속제가 별개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진리의 적용에 있어서 분명 상황에 따른 차이가 있다. 절대적 진리에만 머물러 있는 것은 생명력 없는 마른 진리일 뿐이고, 상대적 진리에만 집착하는 것은 천변만화하는 상황 속에 매몰되어 버리는 우를 범할 수 있다. 절대적 진리에 굳건히 발을 딛고 매일매일의 구체적 현실 속에 상대적 진리를 자유자재하게 활용하는 것이야말로 가장 이상적이고 온전한 존재의 모습일 것이다.
학술서적이라 번역과 문체가 대중적이지는 못하다. 특히 문장이 한 번 읽어서 쉽게 이해하기 어렵게 되어 있는데 원문이 그런 것인지 번역자의 탓인지 모르겠다. 조금 더 분명한 문장으로 구성되었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아쉬움이 든다. 구체적인 심리적 문제나 영성 수련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심리학과 영성의 통합과 관련하여 심리학자와 영성 수련자 모두에게 매우 유용한 도움을 주는 책인 것만큼은 확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