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말 필살기 - 텔레비전, 영화, 광고, 인터넷에서 찾아낸 우리말 절대 상식
공규택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10년 10월
평점 :
이 책 <우리말 필살기>의 저자와는 개인적으로 같은 대학 같은 과 2년 선후배 사이다. 학교 다닐 땐 이 후배가 이렇게 학구적인 친구인지 몰랐었다. 후생가외(後生可畏)라더니.... 어쨌든 꾸준히 우리 말과 우리 말 교육에 관한 다양한 책들을 써 오던 이 친구가 이번엔 우리 말 상식과 관련된 책을 한 권 더 세상에 내놓았다.
나도 명색이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우리 말을 가르치는 국어 선생인데 알면 알수록 어려워지는 게 우리 말이다. 제대로 공부를 하지 않아서 라고 겸손을 떨고 싶지만 사실은 우리 말 어휘 어법을 그리 심각하게, 애정을 가지고 공부해 본 적도, 그렇게 하려는 의지를 내어 본 적도 솔직히 없다. 문법에 대한 선천적 거부 반응이라고 해야 할까?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을 공부하며 느꼈던 절망감이 새삼 온몸을 전율케 만든다. 도대체 왜 이따위 것을 배워야 하는지...
<우리말 필살기>는 우리말 가운데 아리까리(이거 표준어 아닐텐데...), 알쏭달쏭한 말들의 어원과, 틀리기 쉬운 맞춤법과 표준어, 외래어 규칙들을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게 만든다. 특히 각 꼭지 제일 앞 부분에 제시되는 돌발퀴즈는 다년 간 시험문제 풀이에 길들어진 우리의 풀이 본능을 자극해 주제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만든다. 그리고 생활 주변에서 찾은 다양한 사례에서 동시대 우리 생활과 직결된 우리말 살이의 구체적인 면을 엿볼 수 있게 한 것도 저자의 탁월한 능력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아마 저자도 충분히 공감할 테지만, <표준국어대사전>으로 대변되는 일군의 우리말 전공자들, 언어 권력들과 일반 언어 사용자들의 관계를 어떻게 봐야하는가는 여전히 문제다. 언어학자들이 언중을 계도하고 계몽해야 하는 것인가, 아니면 언중들의 구체적인 언어 활용의 다양한 사례들을 수집, 분석, 정리, 이론화하는 역할에 머물러야 할 것인가? 왜 '짜장면'을 '자장면'이라 발음하고 표기해야 하는가? '누구' 맘대로, '누구'를 위해서? 왜 어느 날 갑자기 '장마비'가 '장맛비'가 되는가? '북어국'이 '북엇국'이 되어야 할 까닭과 필요는 '누가' 정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