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국에서 만난 다섯 사람
미치 앨봄 지음, 공경희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천국에서 만난 다섯사람>은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로 이른바 '모리 신드롬'을 국내에 불러 있으켰던 미치 앨봄의 두번째 책이다.

 

바닷가 놀이공원 루비가든에서 놀이기구 정비를 담당하는 에디는 83세 생일날 고장난 놀이기구에 생명을 잃을 위기에 처한 소녀를 구하고 천국에 간다. 그곳에서 자신의 인생과 알게 모르게 연결된 다섯 사람과 차례로 만나는 과정에서 자신의 상처와 자신도 모르게 타인에게 준 상처를 이해하고 용서하고 화해함으로써 진정한 평화에 이른다.

 

사람들은, 아니 적어도 나는, 나이가 들면서 나도 모르게 진정으로 나를 이해해 줄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생각을 자주 해 왔다. 나 자신조차도 때로는 스스로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할 수 없어 괴로워 하기도 했으니까. 그러므로 인생이라는 것은 절로 세상과 타인으로부터 단절되고 고독한 것이며, 지루한 일상의 연속과 그러한 일상에 대한 만성적인 불만의 계속에 다름 아니었다. 지금 여기 나 자신 말고 다른 어디 누군가에게만 행복과 만족이 존재할 것만 같았고 그렇기에 늘 지금 여기 나 자신을 부정해 왔었다. 그러나 어찌 알았으랴. 바로 그렇게 지금 여기 나 자신 바깥에서 행복과 만족을 찾는 행위 자체가 바로 그 모든 불행과 불만족의 근원이었음을!

 

에디가 천국에서 다섯 사람을 만나면서 치유되듯, 나 또한 여러 사람들과 책들을 만나는 과정에서 나와 나의 일상, 주위의 사람들과 사물들을 새로운 시선, 갓 태어난 어린아이의 시선으로 되돌아보게 되었다. <모리와 함께 한 화요일>도 그랬듯 이 <천국에서 만난 다섯사람> 역시 읽는 내내 잔잔한 감동과 가끔은 눈시울을 적시면서 책 속의 에디처럼 나도 모르게 가슴 한 곳에 응어리졌던 무언가가 녹아내리는 체험을 하였다. 삶은 얼마나 신비로운가? 그리고 그러한 삶을 더욱 강렬하게 상기시키는 죽음은 또한 얼마나 신비로운가? 메멘토 모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