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라는 종족
조이스 캐롤 오츠 지음, 강수정 옮김 / 예담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여자라는 종족.. 참 무섭다.

<하늘에 맹세코> 는 어린 부인과 폭력적인 남편과의 이야기다. 어린 부인, 루크레시아는 순진한 소녀였다. 그녀는 매혹적인 피트먼을 어린 나이에 만나 18살에 결혼하게 된다. 그녀의 남편 피트먼은 보안관의 대리로  부인을 폭행한다. 결국 그녀가 택한 길은 무엇일까? 난 이 어린 아이와 다른 없는 루크레시아가 음란전화를 받고 당당하게 맞설 때 부터 무언가 동화와는 다른 이야기로 흘려간다고 생각했다. 순진하고 부모밖에 몰랐던 그녀가 변하게 된 것은 그녀가 더이상 소녀가 아니라서 인지 아니면 그녀의 남편의 무심함과 폭력때문인지 어느 하나로 단정짓기는 힘들다. 그녀는 많은 요소들로 변했다. 결국 그녀가 선택한 것은 그녀 자신이었다.

< 밴시, 죽음을 알리는 요정>은 아이와 아기가 나온다. 아이는 자신을 아기라고 생각했지만 더이상 자신이 아기가 아니였다. 동생이 생겼기 때문이다. 엄마의 관심은 아기에게 더 쏟아졌고 아기보다 파티에 더 관심을 가졌다. 아이는 관심을 받고 싶었다. 이혼한 아빠가 보고싶었다. 그래서 결국 이 아이도 선택한 것이 관심받기 위한 행동이였다. 어릴 적 동생이 생기면 아이들은 누구나 질투를 하게 된다고 한다. 그것을 잘 조율하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라고 한다. < 밴시, 죽음..>에서도 아기를 질투하는 아이가 등장하는데 문제는 부모들이 그것을 조율하지 않고 아이를 방치해 둔 것이다. 결국 질투와 관심 때문에 아이는 어쩌면 아이다운 행동을 한다. 잔혹할지 몰라도 생각해보면 아이가 아무것도 모르기 때문에 일어난 일이라고 생각할 수 있어서 크게 진저리치거나 무서워한 작품은 아니다.

<인형, 미시시피 로맨스> 는 아버지와 의붓딸, 인형이 먹고 살기 위해 매춘을 한다. 생각해 보자. 아버지와 어린 딸이 그것도 의붓 딸이 매춘을 한다면 어떤 생각을 하는가? 바로 우리가 생각하는 그 사실을 한껏 비웃고 어리석다고 손가락질 하는 것이 <인형, 미시시피..>의 내용이다. 이 단편을 읽으면서 왠지 모르겠지만 서글픈 생각이 들었다.

<마네킹이 된 여자>는 우선 제목을 바꾸었으면 한다. 원제가 그렇다면 어쩔 수 없지만.. <마네킹..>은 쇼핑을 좋아하는 G부인의 이야기인데, 뭐 쇼핑을 좋아하는 것은 G부인뿐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여자만 국한되는 내용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물건을 사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이 어디있겠는가. 다만 보통적으로 여자들이 오랜시간 쇼핑을 하는 것은 많다. 아무튼 G부인은 마음에 드는 물건을 찾지 못해 터키 매장으로 가고 그곳에서 이제까지 쌓인 감정들이 폭발하면서 일이 일어난다.

<떠나지 않는 울음소리>는 잘 이해가 되지 않아 두번 읽은 뒤에야 이해를 했다. 폭력을 일삼던 아버지가 살아진 뒤 어머니와 두 자식들이 살면서 읽어나는 일들을 이야기해놓았다.

<허기>는 약간 진부했다. 너무 흔한 이야기라서 읽는 동안 설마 그런 결말은 아니겠지라고 생각했지만 역시나였다. 그래서 좀 아쉬웠다. 딸과 남편이 있는 크리스틴은 바닷가에서 한 남자를 만난다. 그리고 그를 사랑하게 된다. 그리고 남편과 사랑하는 남자 사시에서 고민하게 된다. 남편의 나이가 많지만 많은 유산이 있지만 그녀의 마음은 남자에게서 불탄다. 결국 다른 소설들과 마찬가리조 크리스틴은 끔찍한 선택을 하게 된다.

<분노의 천사>, 사랑을 받는 것과 사랑을 하는 것. 어떤 것을 선택해야할까? 보통 사람들은 여자는 자신을 사랑해주는 남자와 사겨야한다고 한다. 하지만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을 택한다고 한다. 이 단편의 주인공인 카트리나 역시 자신을 사랑해 거의 스토커 같은 길리드를 쳐다보지 않는다. 하지만 길리드는 그녀 곁을 계속 맴돌게 된다. 카트리나는 길리드를 끝까지 이용한다. 하지만 길리드는 상처를 받아도 다시 카트리나를 찾아온다. <분노의 천사>에서는 여자 주인공보다 길리드에게 시선이 더 갔다. 그의 사랑은 정말 사랑이였을까하는 생각도 들었다 카트리나가 쏜 총에도 맞고 그녀를 위해 모든 것을 다 받치는데 그것은 삐뚤어진 사랑이였다. 그리고 그런 사랑을 이용해 먹는 것이 여자라는 종족이었다.

<자비의 천사>에는 멋진 간호사 일명 자비의 천사인 아그네스가 나온다. 그녀는 못생겼지만 훌륭한 간호사였다. 그런 아그네스를 뛰어넘기 위해 R-은 최선을 다한다. 하지만 R-은 아그네스의 비밀을 알게된다. 아그네스의 비밀은 섬뜩했다. 왠지 저주받은 도시라고 지칭되는 11층 병동에서의 우울한 분위기가 더욱 이 이야기를 섬뜩하게 만드는 것 같았다. 

나도 여자지만 참 무서운 존재인것 같다. 같은 여자로써 이런말 하기 참 민망하지만... 책을 읽는 동안 이 책 거의 호러 수준이라고 생각했다. 여기나오는 여자들 다 왜이래하는 말들이 계속 입가에 맴돌았다. 너무 잔인한 거 아냐? 마음에 안든다고 다 치워버리는걸..  하지만 다 읽고 난 뒤 생각할 시간을 가지고 나니 여자란 자인하고 무서운 존재가 아닌 것 같다. 자신에게 상처주는 사람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고 세상의 두려움과 무서움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굳세어지고 독해지는 것인데 그것이 조금은 많이 빗나간 것 뿐이라고 생각한다. 아니 생각하고 싶다. 여자라고 다 이렇지는 않다.  그렇게 생각하고 싶다. 모든 여자가 이렇지는 않다고..!! 작가님, 여자를 너무 잔인하고 무서운 존재로만 표현한거 아닌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