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시간 후 너는 죽는다 밀리언셀러 클럽 99
다카노 가즈아키 지음, 김수영 옮김 / 황금가지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카노 가즈아키의 소설이라고 하니 그의 첫 작품인 13계단을 말하고 넘어갈지 않을 수 없다. 13계단이 처음 출판될 당시 여라가지 타이틀을 가지고  출판된 책이였고 평이 좋아 읽게 기대하지 않고 읽게 되었다. 기대를 하지 않고 읽어서 그런지 작가의 첫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재미있었던 작품이였다. 긴장감과 소재의 특이성도 있었고 반전 역시 좋았던 소설이였다. (내가 생각하는 좋은 추리소설이란 좋은 소재와 멋진 반전이 70%를 차지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13계단의 좋았던 기억 때문인지 다카노 가즈아키라는 작가의 작품은 신뢰성이 있었고 그레이브 디거와 이 책 역시 망설임 없이 선택해서 읽게 되었다.

 

<시간의 마법사>

동화같은 분위기에 기분이 좋아지는 소설이였다. 추리소설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아름다웠고 예뻤다. 침든 나날을 보내는 플룻 라이터 미쿠의 이야기였는데 처음 그녀의 모습은 삶에 지치고 힘들어하는 한마디로 삶에 찌든 여자였다. 하지만 그녀는 작은 만남으로 인해 희망을 되찾고 다시 한번 도전을 하게 된다. 마무리 역시 마음에 들었는데 모든 일이 잘 되었다는 식의 동화같은 해피엔딩이 아니라 그녀가 희망을 갖는 모습을 비추어 주어서 더욱 감동을 받고 아름다운 소설이라는 느낌을 받았다.

 

<사랑에 빠지면 안되는 날>

미스터리한 분위기가 물씬 나는 단편이였다. 이 책의 단편들에는 공통적으로 나오는 케이시라는 인물이 있는데 케이시가 이번에 역시 사랑에 빠지면 안된다는 예언을 하게 된다. 기묘한 이야기라는 말이 이 단편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 같다.

 

< 돌하우스 댄서>

책에 수록된 6개의 단편 중 가장 좋았던 작품이다. 득특한 소재였는데 돌하우스라는 귀엽고 아기자기한 소재를 사용한 추리소설이였다. 내용은 비록 아기자기 하지 않아지만 구성이 좋았다. 액자식 소설이였는데 소설 속에 있는 액자가 티비나 책 속의 책이 아니라는 점이 좋았다. 결국 주인공이 꿈을 이루지는 못했지만 또 다른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씩씩한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그게 바로 현실이 아닌가  모르겠다. 꿈을 이루는 사람도 있지만 그 꿈을 이루지 못하고 다른 미래를 향해 가는 사람들에게 미소를 띄게 하는 소설이였다.

 

<6시간 후에 너는 죽는다>

제목부터가 섬뜩하다. 6시간에 후에 내가 죽는 다면 어떻게 될까? 누군가 옆에 와서는 "너 6시간 후에 죽어"라고 말한다면 어떨까. 소재로는 재밌겠지만 실제로 듣는다면.. 말로 표현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나는 이 소설을 보면서 아까웠다. 단편으로서의 매력도 있지만 장편으로 쓴다고 해도 좋았을 것 같다. 6시간 후에 죽는다고 예언을 들은 여자의 심리적 묘사나 범인을 쫓아가는 과정을 더 자세하게 했다면 하나의 긴 장편이 되어서 더 만족스러웠을 것 같다. 아마 이와 다르게 또 다른 매력이 있었을 것 같다.

 

<3시간 후 나는 죽는다>

이건 더 심하다. 이제 내가 죽는 시간을 스스로 안다고? 참으로 무서운 이야기다. 하지만 다카노 가즈아키는 무겁게 가라앉기 보다는 희망을 주려고 노력한 것 같다. 이 작품은 <6시간>과 다르게 단편으로 만족스러웠다. 짧은 시간에 이야기를 긴박하게 써내려 갔다. 운명을 바꿀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나에게 남겨준 작품이다.

 

다카노 가즈아키가 우리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 이 책을 통해서 전하고 싶은 말이 < 미래의 일기장>이라는 단 몇 페이지의 작품 속에 들어 있는 것 같다. 우리는 미래를 알고 싶어 점쟁이를 찾아가기도 하고 관상을 보기도 한다. 누구나 미래에 대한 궁금증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미래를 안다고 해서 바꿀 수 있을까? 과연 미래를 아는 것이 좋을까? 운명이라는 것이 존재할까? 다카노 가즈아키가 하고 싶은 말은 운명이 존재하지만, 그것은 충분히 사람이 바꿀 수 있다는 이야기인 것 같다. 그 이야기를 우리에게 평범한 일상 속에서 평범하지 않는 소재를 통해 이야기 해주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