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리고에 저택 살인사건
아야츠지 유키토 지음, 한희선 옮김 / 시공사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때 구하기  위해 헌책방을 찾아헤매게 하던 관 시리즈의 작가 아야츠지 유키토의 작품이라는 사실만으로 읽기전부터 기대한 작품이였다. 관 시리즈와 비슷하게 고전추리소설의 구조를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추리소설을 잘 모른다면 김전일이나 명탐정 코난을 읽은 사람들이라면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큰 저택에 자연환경 (눈보라, 폭풍이 대표적이다)때문에 고립된 일행들, 수상한 사람들, 숨겨진 이야기, 끊어진 전화선, 불구가 되어버린 교통수단, 더더욱 심해지는 날씨 속에 죽어가는 사람들, 그리고 한명의 탐정. 우리가 흔히 본 구조이다. 키리고에 저택 살인사건 역시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런 고전추리소설의 묘미는 글이 얼마나 긴박하고 속도 있게 잘 읽혀지냐에 있거나 아니면 독특한 트릭과 범인의 의외성에 있다. 나 역시 글을 읽으면서 어떤 사람이 범인이 될지 어떤 트릭이 나올지 기대했다.

연극단원들이 눈보라 속을 헤매다 키리고에 저택에 머물게 된다. 고저택은 웅장하고 멋있지만 무언가 숨기는 듯한 사람들로 가득차 있다. 전화선도 끊어지고 차로도 나갈 수 없는 상황에서 단원들이 한명 씩 죽어나간다. 그 과정에서 단장이 탐정이 되어 사건 해결에 실마리를 찾아나선다. 내용은 지극히 평범한 것이라 딱히 놀랍거나 새로운 것이 없었다. 전개 속도 역시 너무 빠르지도 느리지도 않았지만 고전추리소설의 특징답게 탐정이 어느 정도 알게됨에도 불구하고 입을 다물고 기다리는 패턴은 변하지 않았다. 그런 점에서 답답함은 없지 않았다. 저택의 분위기를 느끼게 해주는 저택의 단면도가 좋았는데 꽤 정교한 단면도에 작가의 세심함이 느껴졌다. 거기다 일본의 민속적인 내용들을 자세하게 소개하는데 거기서 작가의 꼼꼼함을 다시 느꼈지만 일본 옛 문화를 거의 모르는 나에게 오히려 지루한 부분이 되어서 그냥 넘어 간 것이 많다. 고저택에 고미술품과 조각품들이 함께 어우려져 만든 기괴하고 묘한 분위기를 풍겼다. 

작가의 세심함, 인물의 심리묘사, 추리소설 다운 분위기 그 모든 것이 좋았지만 추리소설의 묘미는 누가 뭐라고해도 마지막 반전과 범인의 의외성이다. 작가 유키토는 나를 실망시키지 않았다. 마지막 범인이 밝혀지고 그 범인의 의외성이 좋았다. 섬세한 묘사, 심리전도 중요한 요인이지만 무엇보다 재밌고놀랄만한 내용이 첨가되었다면 나는 그것으로 만족한다. 그렇다고 마구잡이로 써놓고 말도 안되는 범인을 내세운다면 문제가 되겠지만 작가의 명성답게 구성과 내용도 만족스럽고 마지막 역시 잘 마무리되었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