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서
한호택 지음 / 달과소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삼국시대 이전의 역사는 중국의 역사서나 삼국사기, 삼국유사의 내용에 많이 의존한다고 들었다. 서동요의 주인공 백제 무왕(책에서는 장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의 이야기 역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나와있지만 그에 관한 이야기가 서로 엇갈리고 있다고 한다. 또한 일부 서동요의 주인공 서동이 백제 무왕이 아니라 다른 왕이라는 주장까지 있다. 짧지만 많은 것을 담고 있는 서동요의 비밀이 왠지 밝혀질 것 같은 기분에 책을 얼른 펼쳐보았다. 

법왕의 아들이라고도 하고 강가에 사는 여인이 용의 아이를 잉태하여 낳은 것이 무왕이라고 하는데 '연서'에서는 좀 더 복잡한 출생의 비밀을 가지고 있었다. 장의 아버지 위덕왕은 선왕의 일로 충격을 받아 여인을 가까이 하지 않았다. 그러다 장의 어머니와 단 하룻밤을 함께하고 '장'이 태어나게 된다. 장이 장성하자 장의 어머니는 그를 스님에게 보내 무술을 연마하도록 한다. 장은 무술을 연마하고 그 후 스승 왕평을 만나 그림을 팔게된다. 그림을 판 돈으로 왜로 가서 태자이자 자신의 형인 아좌를 만나게 되고 신라의 공주 선화를 만나 사랑에 빠진다. 

충분한 자료조사가 이루어졌는지는 나도 잘모르겠다. 백제사에 대해 아는 것이 많이 없어 알 수 없지만 퍼즐 조각들을 잘 이어 맞춘 것은 알 수 있었다. 실제로 우리가 알고 있는 서동의 설화를 과감히 버리고 교묘하게 잘 배치하여 무왕의 가장 중요한 핵심인 서동요를 극적이게 좋은 아이템으로 활용한 것 같다.

결말이 좋았는데 사실화 시키지만 정확히 서술하지 않고 결말을 매듭지어 마음에 들었다. 하지만 그것이 아쉬움을 불러오기는 했다. 선화공주와의 사랑이 이루어졌기는 하지만 선화공주는 중후반부터 나오기에 장과의 사랑이야기가 많이 없었다. 오히려 장의 일대기 속에 한 부분으로 밖에 차지 하지 않았다. 그래서 외전이나 에필로그 형식으로 장과 선화공주의 이야기가 더 있었다면 좋았을 것 같다. 결말을 너무 급하게 마무리 한 것도 아쉬움 중에 하나이다. 

한사람의 일대기는 자칫하면 길어져서 늘어질 수 있고 너무 빠르게 넘어가버려 정신이 없을 때도 있는데 '연서'에서는 세월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연결시켜서 부드럽게 잘 넘어갔다. 하지만 방대한 양을 압축하여 얇은 책 한권으로 넣다보니 설명이 부족한 점이 많았다. 좀 더 긴 이야기가 되었다면 좋았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