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인 오늘의 일본문학 6
요시다 슈이치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시다 슈이치를 처음 만난 것 '첫사랑온천'이란 작품에서였다. '첫사랑 온천'을 읽을 때 요시다 슈이치는 평범한 느낌의 일본소설가였다. 풋풋한 사랑과 아슬아슬한 사랑과 여운있는 사랑들을 보여주는 그의 작품은 강렬한 느낌을 주지 못했다. 그의 다른 작품을 읽어보지 않아 그의 전반적인 작품의 평가를 할 수 없지만 한가지 확실한 것은 '첫사랑 온천'과는 확연히 다른 느낌과 강렬함이  '악인'이라는 책에서 보여지고 있다.

하나의 작은 사건이 일어난다. 미쓰게 고개에서 한 여자가 죽은 채 발견되고 그녀가 만나려 간다고 한 남자친구 역시 행방불명 된 상태이다. 경찰은 행방불명이 된 남자를 범인으로 지목하고 그를 뒤 쫓게 된다. 그녀와 그녀의 주변에는 수 많은 인물들이 자신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

죽은 채 발견된 여자와 행방불명된 남자보다는 그 주변에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살아아고 있는 모습을 더 많이 보여주고 있다. 일어난 사건에는 크게 연관이 있는 사람이 있고 작게나마 연결되는 사람도 있다. 서로를 알지는 못하지만 사건으로 이어져 있는 사람들. 저마다 나와서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 과연 그 사람들 중에 범인은 누구며 누가 과연 악인일까.

'악인'이란 제목은 큰 인상을 주는데 나는 그 악인이 뜻하는 바가 여자를 죽인 범인이라고 생각했다. 사람을 죽은 살인자야말로 가장 큰 악인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그 생각은 흔들리기 시작했다. 과연 악인은 누구인가. 만남싸이트에서 연락한 여자와 만나며 그 사실을 숨기고 싶어하는 사람. 마사지샵에 출근 도장을 찍는 사람. 친구들에게 잘난 척하며 거짓말을 하는 사람. 자신의 잘못을 자랑인 것 처럼 떠벌리는 사람. 아이를 버리고 가버린 사람. 죄질을 논하자면 살인자가 가장 나쁘겠지만 나는 이 모든 사람들이 악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작가도 이런 사건에 연관된 여러사람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악인은 어떤 한 사람이 아니라 잘못을 저지르고 있는 모든 사람이라고 말하고 싶었던것은 아닐가.

너무 재밌게 잘 읽었다.  특히 마지막 부분에서는 감동과 벅차오르는 느낌을 느꼈다. 끝부분이 너무 마음에 들었다. '악인'을 읽으면서 요시다 슈이치의 새로운 면을 볼 수 있었다. 어떻게 해서 이런 좋은 작품을 쓸 수 있었는지 나 또한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