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쿠치바 전설
사쿠라바 가즈키 지음, 박수지 옮김 / 노블마인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띠지의 문구가 이렇게 관심가기는 처음이다. 세명의 소녀들의 소개들도 그렇고 소녀들의 뷰티풀 월드라는 말도 너무 눈길을 끈다. 붉은 색을 좋아하지 않는 편인데 눈이 아프지 않는 강렬한 색으로 이쁜 단풍 디자인 역시 눈길을 끈다.

산속에서 사는 '변경사람들'의 아이 만요는 베니미도리 촌 최고 가문 아카쿠치바로 시집간다. 그녀는 천리안으로 미래가 보이는 특기(?)를 가지고 있다. 그녀는 나미다,게마리,가방,고두쿠를 낳는다. 그중 게마리를 단연 돋보이는 존재로 특이한 이상형을 가진 불량학생으로 그 지방에서 이름을 날린다. 전국 투어 비슷하게 옆 동네를 장악해 나간다. 세월과 함께 아카쿠치바의 집안은 탄생, 죽음, 인연, 운명으로 이어져간다.

우리가 느끼고 책에서 봐왔던 역사가 이 책에 들어있다. 일본의 역사를 느끼는 것 같고 그 역사는 현대의 역사라 친근감이 느껴진다. 악마로 표현되는 맥아더, 역도산,이따이이따이병, 석유파동, 노스트라다무스 예언, 베를린 장벽등 내가 아는 역사이야기들이 나오니 오히려 잘 읽을 수 있었다. 아는 것이 나온다는 그 기쁨이란..스케일이 크고 빠르게 넘어가지만 술렁술렁 넘어간다는 느낌은 없다. 나도 함께 속도를 높이며 재밌게 읽을 수 있었다. 가까운 나라라 그런지 비슷한 이야기도 있었지만 ( 분신사바와 비슷한 곳쿠리상이나 입이 찢어진 여인등) 다른 부분은 다르다. 그것이 아쉽다. 일본 작가가 썼기에 당연히 일본의 역사가 바탕이 되겠지만 한국의 역사였다면  더 공감되어 정말 재밌게 읽었을 것 같다. 미래를 보는 만요와 폭주족 게마리 그리고 게마리 딸 도코. 세 명의 주인공의 개성은 흘려가는 역사에 꼭 맞아 그 시대를 대표한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그 시대의 소녀도 변해간다. 사회의 변화, 경제의 변화, 여성의 변화, 학교의 변화, 시대의 변화, 범죄의 변화. 시대가 흐르면서 변해가는 그 모든 것들의 변화가 이 책에 담겨져 있다.

만요의 이야기를 읽을 때는 할머니께서 들려주셨을 것 같은 옛날 이야기 같은 분위기가 느껴졌다. 산 속에 모여사는 변경사람들 이야기나 미래를 보는 만요의 이야기는 왠지 판타지스러웠다. 게마리 이야기는 현대의 시작이였다. 공업이 발전하고 옛 것은 물러가고 기계들이 들어오고 도시 문화를 즐기는 우리의 최근의 모습을 보았다. 도코의 이야기는 아주 작은 부분밖에 나오지를 않아 시대의 분위기를 많이 느낄 수는 없었다. 또 도코는 자신의 이야기보다는 할머니 만요의 시절을 찾아가는 이야기가 많기 때문에 아쉬운 점이 있지만 그래도 개방적이도 정보의 시대를 걷고 있는 지금의 이야기를 볼 수 있다.

읽는 동안 이 책이 과연 미스터리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분명 제 60회 일본추리작가 협회상을 수상했다고 나와있지만 읽는 동안 그런 내용이 전혀 없어 놀랐다. 마지막 부분에 가서 수습하듯 미스터리 요소들이 나와있지만 장르를 미스터리라고 하는게 부족하지 않은가 싶다. (미스터리라는 장르를 정의하기 모호하지만..) 하지만 미스터리적인 요소가 부족하는 것은 상관이 없다. 그런 요소가 없어도 이 책은 재밌고 볼 거리도 풍성하기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