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 고양이 - 일본추리작가협회상 수상 단편집
니키 에쓰코 외 지음, 정태원 옮김 / 태동출판사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고전추리소설을 제법 좋아하는데  요즘일본소설이 쏟아져 나오는 가운데 내가 원하는 고전은 찾아볼 수 없어 조금 아쉬웠다. 하지만 마침 이렇게 좋은 책이 나왔다. 무엇보다 'golden age myatery01'라는 말이 참 좋다. 적어도 2,3편까지는 나온다는 말이라고 생각하고 혼자서 좋아했다. 목차를 보는 순간 내가 정말 고전의 세계에 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는 이름은 아토다 다카시, 니키 에쓰코 정도 밖에 없었다. 아는 이름이 있다는 것에 반가운도 들었고 새로운 작가들을 만난다는 것에 행복했다. 

가끔은 정말 긴 장편보다는 짧고 굵으면서 망치를 맞은 듯한 단편이 훨씬 좋을 때가 있다. 그 짧음의 강렬함에 매료되는 일이 종종 있으며 단편집은 골라먹는 재미가 있다. 하나의 단편에 실망해도 다른 좋은 단편을 찾아내면 그 책은 어느새 좋은 책, 재미있는 책이 되어버리는 그런 점 또한 좋다. 실망보다는 재미를 더 찾을 수 있는 단편집이 나에게는 안성맞춤이다. 하지만 리뷰 쓰기에는 참 애매하다. 하나하나 이야기를 쓰자니 다 말해버리는 느낌을 받고 안하기에는 좀 리뷰가 부족해지는 것같아 늘 고민이 된다. 고민 끝에 읽었던 작품 중 마음에 들었던 단편들만 이야기 해본다.

<해만장 기담> 재밌다고 말할 수 없지만 이 작품을 읽으면서 난 유**의 어떤 작품이 떠올랐다. 기상천외한 발상을 보여주는 작품이였다. 고질라의 원작자라는 것이 이해가 간다.

<눈속의 악마> 사람의 질투란 것 확실히 무섭다. 그래서 미스터리 속에서 많이 등장하는 건지도.. 우리나라에서 공통과학만 배웠다면 이런 일이 이러나지 않았을지도 모르겠다. 확실히 난 공통과학시간에 배웠다.

<허상음락> 정신과 의사를 잠시 만나고 온 것 같다. 인간은 참 무섭다. 이렇게 무서워질 수 있다니.. 재밌게 읽었다고 한다면 이상한 사람 될 것 같고 흥미로웠다고 말하게는 제일 맞는 단어일듯.

<어떤 결투> 좀 아쉽기는 하지만 읽으면서 생각했던 방향과 전혀 다른 결론으로 나아가서 혼자 놀랬다.

<매국노> '작가님 너무 합니다' 딱 이렇게만 말하고 싶다.

<피리를 불면 사람이 죽는다> 피리부는 사나이를 이용하여 만든 작품인데, 중요한 것은 오뉴월에 서리 내릴 짓은 우리모두 하지 말자.

<그린 차의 아이> 너무 귀여운 소설이다. 유일하게 살인이 일어나지 않는데 이런 분위기의 소설을 무척이나 좋아한다. 정감가고 훈훈한 작품이다. 그린 차의 차는 마시는 차가 아니라 타는 차인듯. 좀 더 좋은 단어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손님> 짧고 굵은 단편이였다. 끝이 뭐라고 해야할지 잘 모르겠지만 약간 무섭다는 느낌이라고 하면 좋을 것 같다.

<돌아오는 강의 정사> 문학적인 느낌을 조금 받았다. 죽음이 왠지 미화되는 듯한 느낌을 역시 받았다. 나에게는 약간 혼란스러웠던 작품.

가끔 모르는 단어들이 나와 혼자 계속 생각했다. 아직 부족한 나같은 사람들을 위해 각주를 달아줬으면 하는 단어가 몇가지 있었다. 특히 <돌아오는 강의 정사> 의 정사는 한자를 보지 못해서 혼자 앞뒤가 맞지 않는다며 옆길로 빠지기도 했다. <그린 차의 아이>에서도 내용을 보면 쉽게 알 수 있지만 그래도 제목에 한자를 달아두었다면 훨씬 좋았을 것 같다. 승홍을 모르는 사람은 역시 나밖에 없다는 생각에 좌절하기도 했다. 

전체를 봤을 때 꽤 괜찮은 작품들의 연속이였다. 더 많은 책들을 찾아본다면 이보다 더 좋은 단편들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제까지 봤던 단편집 중에 제일 괜찮다고 말하고 싶다. 좋은 단편들을 많이 볼 수 있어서 좋았다. 이래저래 말은 길지만 한마디로 재미가 좋다는 것이다.  책이야 재미가 있으면 다 좋은 것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