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틀라스 중국사 - 역사읽기, 이제는 지도다! 아틀라스 역사 시리즈 3
박한제 외 지음 / 사계절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중국의 역사는 거의 알지 못한다. 나라별로 유명한 왕들을 몇 명알고 또 유명한 여인들에 대해 아는게 전부다. 세계사를 배운것은 중학교때 사회시간에 사회책에 나와있는게 고작이였다. 다른 유럽 역사들은 재밌게 읽을 수 있었지만 너무 방대해보이는 중국역사는 시작하기 두려웠다. 우리의 역사와 많은 관련이 있는 중국역사를 오히려 모르는 것 같다. 지금 중국과 우리는 고구려역사에 대해 한바탕 씨름하고 있다.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이라고 했다. 이 책이 아마도 적을 잘 알려줄 것 같다.

사회과부도, 역사부도란 책은 확실히 학생시절 한 번도 펴보지 않고 사물함에 넣어놨다가 버리고는 했다. 중요성뿐만 아니라 펼쳐서 제대로 살펴본 적이 없어 얼마나 흥미로운지에 대해서도 몰랐다. 역사부도에 나와있던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역사지도가 얼마나 굉장한 것인지 이 책이 보여주고 있다. (글을 쓰신 분들도 텍스트와 지도의 어우려짐이 이 책에 있다고 했다) 우리나라 역사지도의 첫걸음을 뗀 책들이 아틀라스 시리즈가 아닌가 싶다. 

이 책은 말그대로 역사책과 역사부도를 합쳐놓은 것이다. 싸움이 일어난 곳이나 전쟁의 이동방향, 나라의 경계만 알려주는 단순한 지도가 아닌 유명 인물 분포나 염관의 위치등 역사와 관련된 내용들을 표현한 지도들이 내용과 함께 이 책에 담겨져있다. 지도뿐만 아니라 유물들의 사진도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이런 사진들과 지도가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자 단점이다. 책이 흥미롭고 눈에 잘 들어오며 이해도 쉽다. 단순히 조조와 유비가 싸웠다는 내용보다는 그들이 어디를 중심으로 서로 전쟁을 했는지 알게되니 더 좋았다. 하지만 지도나 사진이 차지하는 면적만큼 글이 들어갈 자리가 좁아진다. 중국사는 내용이 많다. 왕조도 많고 역사도 깊다. 이야기해야할 인물도 많다. 그 많은 내용이 지도와 함께 책에 들어갈려고 하니 내용이 조금 축소 될 수 밖에 없다. 중국사에대해 내가 많이 알지 못하니 얼마나 잘 압축되어 있는지는 모르지만 각 시대별로 전공이신 분들이 내용을 만들었으니 아마 꼭 알아야할 내용이 들어가 있다고 믿는다.

서태후가 어떻게 동태후를 죽였는지, 진시황릉의 비밀이 무엇인지 알고싶다면 이 책을 읽어서는 안된다. 고대 중국부터 현대까지 개괄적인 중국의 역사를 알고싶다면 이 책을 추천한다. 내용의 양도 적당하고 지루하지 않으며 눈도 즐겁다. 각 시대별로 전문가분들이 완성하셨으니 내용의 구성도 좋을 것이다.  아마 이만한 책을 찾아보기 힘들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