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월은 붉은 구렁을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무지개하고, 구름하고, 새하고 그중에서 어느 게 좋아?"
" 네? 뭐가요?"
오랜만에 불쑥 나타난 미사오가 에이코 옆에 앉아 크로키를 하면서 물었다.
" 이다음에 다시 태어난다면 말이야." 

 

삼월은 붉은 구렁을...
이란 제목을 책을 다시 보지 않고 제대로 얘기하는 날이 올까?
책을 다 읽고 나서도 붉은 구렁이 붉은 구멍을 의미하는 말이라는것과 삼월만 있는, 봄만 있는 공간이 있다는것 외에는 책 제목의 모호함이 여전하다.

'기다리는 사람들' , '이즈모 야상곡', '무지개와 구름과 새와' , 그리고 '회전목마' 네개의 연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연작에서는 '삼월은 붉은 구렁을' 이라는 신비한 책이 나오기도 하고, 나오지 않기도 하고.

이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미스터리' 의 팬들,'책'을 좋아하는 사람들,그리고 '이야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다.  두 부류 모두에 해당되는 나는 이 책에 대한 기대가 컸고, 그 기대는 어느정도 충족되었다. 책에 대한 애정, 책 읽는 사람의 소외(기다리는 사람들), 잘 만들어진 이야기에 대한 순수한 기쁨(이즈모 야상곡, 무지개와 구름과 새와), 뭐가 뭔지 모르지만, 전편들에 대한 기대 때문에 한편으로는 전편들과 맞아들어가고, 한편으로는 어리둥절하면서도 계속 읽게 되는 4부 회전목마의 모호함,

책을 읽고 마지막으로 카타리시스.를 느낀 적이 언제이던가. 이 책을 읽고 그걸 느꼈다는건 아니다. 다만 이 책에는 '삼월은 붉은 구렁을' 이라는 책을 읽고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사람들로 가득하다.

책을 읽으면서 내내 거참, 온다 리쿠 이 책 쓰고 속은 디게 시원했겠구만. 하고 싶은 말을 어찌나 거침없이 하던지. 혹은 그 이야기들을 작가가 자기 자신을  표현하기 위해서라고 생각하고 지레 한쪽 입꼬리 올리는 나는 두번째 연작 '이즈모 야상곡' 의 아카네가 가장 싫어하는 부류로 작가를 매도하는 것인지도.
또 하나 한쪽 입꼬리 마저 올리게 했던 점은 '삼월은 붉은 구렁을' 이란 책 속에 등장하는 '삼월은 붉은 구렁을' 이란 책에 대한 등장인물들의 경외, 찬탄, 너무 훌륭해, 전설이야, 등등등. 온다 리큐의 작품을 처음 접하기에, 이 것들을 작가의 유머로 봐야할지, 아니면, 설마 정말 진지하게 그렇게 쓰지는 않았겠지.

이런저런 투덜거림이 많았지만, 이런 책을 써 낼 수 있는 작가에 대한 질투이다.
환상, 미스터리, 그로테스크 소설, 꼭 삼월에만 만나야 하는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