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 가지 이야기 - 1992년 제3회 아유카와 데쓰야 상 수상작
가노 도모코 지음, 박정임 옮김 / 피니스아프리카에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읽는 일상 미스터리인 것 같다. 아닌가, 바로 전에 <사신의 술래잡기>를 읽었어서, 이 책의 '일상'이 더 극적으로? 느껴졌다. 제목대로 일곱가지 이야기를 담고 있고, 마지막 챕터의 제목이 '일곱가지 이야기' 이기도 하다.

 

각각의 이야기를 담고 있고, 연결되는 이야기도 있는 연작집이기도 하다. 결말도 있다.

 

이리에 고마코는 표지 그림이 왠지 끌리는 책을 발견한다. 그 책의 제목이 <일곱가지 이야기>

 

[[[표지에는 밀짚모자를 쓴 소년이 서 있다. 조금 지저분한 러닝셔츠는 소년의 마른 어깨에 흘러내릴 듯 걸쳐 있고,끝자락은 반바지 밖으로 조금 삐져나와 있다. 손에 든 하얀 잠자리채는 꽤나 오래 사용했는지 뚫린 부분을 묶은 매듭이 있다. 발은 맨발이다.

그 묘한 분위기의 소년은 어딘가 먼 곳을 보고 있는 것 같기도 하고 멍하니 시선을 헤매고 있는 것도 같았다. 살짝 투명감이 감도는 그 눈은 화가 나 있는 같았고, 울고 싶은 것을 억지로 참고 있는 것처럼도 보였다. 그리고 등 뒤에는 연푸른 색조로 통일된 한가로운 전원 풍경이 시원하게 펼쳐져 있었다. ]]]

표지를 묘사한 글을 길게 옮겨 본 것은 이 책 표지랑 비교해 보려고.

그리고, 표지와 관련된 에피소드도 있다. 표지 중요.

 

책을 읽고, 작가인 사에키 아야노에게 편지를 보내기 시작한다. 각 에피소드들은 고마코가 일상에서 겪은 수수께끼, '일곱가지이야기'의 책 이야기, 그리고, 고마코가 보낸 편지와 작가의 답장으로 이루어진다. 가볍게 읽을 수 있는 단편집 치고는 꽤나 복잡한 구조이다.

 

어떤 반전이나 대단한 감동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상의 소소한 수수께끼 풀이 이야기는 재미있다.

 

[[[대체 언제부터 의문을 갖지 않게 되었을까요? 언제부터 주어진 것에 납득하고, 상황에 납득하고, 여러 가지 모든 것에 납득하게 되어 버린 걸까요? 언제고 어디서고 수수께끼는 바로 옆에 있었습니다. 스핑크스의 심원한 수수께끼 같은 것이 아니더라도, 예컨데 사과는 왜 떨어지는지 까마귀는 왜 우는지 같은, 사소하지만 정말로 중요한 수수께끼는 일상에 넘쳐 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누군가가 대답해 주기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

피니스 아프리카에는 이제 출판사 이름만 보고 살 수 있는 그런 출판사가 된 것 같다. 계속 기대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