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다의 길드로잉 예찬이 전염되는 책이다. 

작년인가 제작년 이다님의 길드로잉 그림을 트위터에서 보면서 새로운 눈이 떠진 기분이었다. 


사람들은 의외로 좋은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데 약하다. 그래서 그냥 '좋다' 고 말하고 마는데, 

왜 좋은지, 애정을 가지고 '말'로 표현해주면, 좋음에 대한 눈의 떠지는거다.그 말을 듣기 전과는 다른 것이 보이는거다. 

아는만큼 보인다.도 거기서 나온 말이리라. 


이다님이 길드로잉으로 보여주는 국립현충원, 가을산, 집근처 국립중앙박물관, 현대미술관 등을 보며 

늘 보고 다니던 것들이 새로이 보였다. 아, 가을산의 색깔이 이렇게 예뻤지. 아, 현대미술관 예쁜지는 알았는데, 정말 이렇게 예쁘구나. 싶었다. 


그런 예쁜 경관들을 알아볼 수 있는 눈을 빌려주신 이다님께 진심으로 감사한다. 


발리책은 우연찮은 기회에 선물로 받게 되었지만, 

이번 '길드로잉' 은 나온 즉시 냉큼 샀다. 


그림을 그리고 싶은 욕망이 가득한데, 미술에 안 좋은 기억이 있어서 쉽사리 시도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거라고 생각한다. 


고등학교때 나를 포함한 많은 여학생을 성추행 했던 미술선생새끼는 어느 미술시간 그 시간에 그린 그림을 야외 바닥에 내려놓고 있는데, 내 스케치북을 발로 툭툭차며, 이것도 그림이냐며 온 반 아이들 앞에서 상소리를 섞어 온갖 모욕적인 말을 쏟아냈었다. 그래서 '성추행+미술선생+ 개망신 + 스케치북 발로 차기'  뭐 이런게 한꺼번에 기억되어 버린거. 때문에 그림을 시도하지 못하고 있는거라고 생각한다. 


이게 뭐 되게 아픈 기억, 그런건 아니고, 좋아하면서 쉽사리 그림을 시도하지 못하는 내 자신에 대한 변명으로 써먹거나 여중,여고 다니다보면 성추행하는 선생쯤은 널렸지.의 예로 드는 정도이다. 


이다님의 길드로잉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면, 움찔움찔 나도 그려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예쁜 꽃그림이나 풀그림을 잘 그릴 수 있으면 좋을텐데 싶어서 말이다. 



* 꿈꾸는 타자기님 알라딘 서재 아이디가 어떻게 되는지 아시는 분 계신가요? 블로그에 글 남겼는데, 안 보시는듯; 

서재도 안 볼 것 같긴 한데, 저..전화할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06-24 04:2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