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라, 시티 - 죽은 자의 두 번째 삶이 시작되는 시티!
케빈 브록마이어 지음, 김현우 옮김 / 마음산책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제는 The brief history of the dead. 알라딘 메인에서는 2005년 스밀라, 2008년 로라가 왔다.고 선전하고 있는데, 추운 지방이란 것 말고는 무슨 공통점? 설마 라라라자로 끝나는 .. '라'자 돌림?

딴지는 여기까지. <로라, 시티>는 굉장히 아름다운 이야기이다. 이야기는 '시티'에서 시작한다. 
'아빠, 죽으면 어떻게 되? 죽으면 아무것도 없어? 아니면, 죽으면 하얀 빛의 터널이 보이면서, 새로운 곳으로 가?' 
죽으면 어떻게 되는지는 모른다. 하지만, 죽으면 그 다음으로 사람들은 바밤- 바밤- 바밤- 심장 고동소리가 들리는
'시티'로 간다. '시티'에 모인다. 언제까지? 살아있는 누군가가 그 혹은 그녀를 기억하는 그 순간까지..

그들은
삶과 죽음 사이의 어딘가에서,
이미 불이 꺼졌지만 아직 잠이 들지는 못한 상태에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었다.

시티는 죽기 전의 세상과 거의 같다. 적어도, '그 일' 이 일어나기까지는...

로라는 코카콜라에서 일하는 환경생물학자.그녀 외의 몇명과 함께 코카콜라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남극으로 떠나게 된다. 
무전기가 고장이 나고, 본부와 연락이 닿지 않는다. 그녀를 남겨둔 나머지 둘은 남극의 다른 기지로 구조를 요청하러 가고 감감 무소식이 된다. 그 사이 세상에서는..

정체불명의 바이러스가 퍼져 모두 죽는다. 남극 기지의 대원들도 죽고, 기지에 구조를 요청하러 간 이들도 죽는다.  
세상의 유일한 생존자가 된 그녀.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죽으면 가는 그 곳, 시티는 이제 로라의 시티가 된다.

한 명의 인간이 얼마나 많은 사람을 기억할 수 있을까? 평범한 기억력을 가진 사람이라면 말이다. 만 명? 10만 명? 백만 명? 물론 히말라야의 깊은 골짜기에 있는 작은 마을에 사는 사람이라면 그 수는 훨씬 줄어들 것이다. 하지만 마이클 퍼켓은 히말라야 골짜기 마을의 주민들을 생각하는 게 아니었다. 수도승이나 수녀, 아직 걸음마 단계를 벗어나지 못해 자꾸만 넘어지는 어린아이 이야기도 아니었다. 그는 자신에 대해, 자기 자신의 인생에 대해 생각했고, 그러다 보니 로라가 떠올랐다. 결국, 그녀가 공통요소, 사람들을 이어주는 고리였던 셈이다. 시티에서 들은 모든 이야기들을 고려해볼때 그건 확실한 것 같았다. -192쪽-

기억에 대한 아름다운 이야기.
책소개에 나온 것처럼 완전히 죽기 전에(?) 두번째 기회가 온다는 식의 해석은.. 좀 아닌듯.
이야기는 더 모호하고, 더 아름답다구.

머무르지 않고, 앞으로 가는 여자, 포기하지 않고, 애쓰는 여자, 기다리지 않고, 나서는 여자.
그런 로라의 이야기와 로라의 기억으로 만들어진 시티의 이야기가 교차된다.
그런의미에서 이것은 오직 로라만의 이야기인지도 모르겠다. 시티는 로라의 기억.

이 책을 읽으면서 내내 떠올랐던 오래전에 읽었던 책이 있다. 말렌 하우스호퍼의 <벽>이다. 알 수 없는 이유로
모든 사람이 죽고, '나'만이 남았다. 세상으로 나가고자 하지만, 보이지 않는 '벽'이 있다. 그녀는 '벽' 안에서
어떻게든 살아가고자 한다. 이 책은 다니엘 디포우의 <로빈슨 크루소>와 더 자주 비교되긴 하지만,
종말 후 홀로 남은 그녀의 이야기라는 점에서 브록마이어의 <로라, 시티The brief history of the dead>의
대착점에 놓아도 좋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