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오울프
닐 게이먼.케이틀린 R. 키어넌 지음, 김양희 옮김 / 아고라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이미지가 지배하는 지금의 세계에서 읽는 환타지 소설에는 두가지가 있을 뿐이다. 영화화되서 성공하는 환타지와 시시해지는 환타지. 전자에는 <반지의 제왕>과 <해리포터>가 있을테고, 후자에는 <어스시의 마법사> , <에라곤>, <나니아 연대기> 등등이 있을 것이다. 아무리 CG가 발달해도, 인간의 상상력을 넘어설 수는 없다. 책으로 읽는 것이 가장 좋지만, 그렇지 않을 바에는 가능한 책에 충실하거나(해리포터), 가능한 저자의 의도에 가깝게 파악한 것을 그림으로 그리는 것이 좋다(반지의 제왕) 예고편만 봐도 그림이 그려지는 <베오울프>이기에 잡설이 길었다. 

이 책보다 먼저 소개된 닐 게이먼의 <스타더스트>를 보고 이 책을 주저없이 샀다면, 실망할지도 모른다. 톡톡튀는 말투와 아름다운 묘사, 거침없는 전개 등을 기대했지만, 낯선 북유럽의 영웅이 외롭고 고독하게, 강력하고 아름답게 거기에 있었다. 

닐게이먼은 서문에서 '이야기'에 대해 이야기한다. 종종 이야기를 동물해 비유해 생각하는데,상어처럼 오래된 이야기도 있고, 인간이나 고양이처럼 비교적 최근에 이 땅에 등장한 이야기도 있다. 고 말한다. 요런 귀여운 말들이 나오는 서문은 <스타더스트>를 연상시킨다. 그의 이야기론에 의하면, 베오울프는 재발견되어 보호되며, 멸종위기에서 벗어나고 번식하는 동물같은 이야기이다.

 북유럽 신화에는 대부분의 독자가 낯설 것이다. 오직 하나의 필사본만 남아 있다는 베오울프의 이야기는 그 원형조차 굉장히 생소했다. (심지어, 나는 베오울프가 늑대인간 이야기인줄 알고 책을 읽기 시작했다;;) 

이야기의 전개는 거침이 없다. 1부에서 평화로운 젊은 시절 용을 물리치고 황금뿔잔을 얻어온 왕이 다스리는 덴마크 왕국의 연회홀이 완성된날, 그 유명한 꿀술을 부어라 마셔라 하며, 왕을 찬양하고 있는데, 소리에 유난히 예민한 늪의 괴물 그렌델을 고통스럽게 한다. 그때까지 잘 숨어있던 그렌델은 이제 마을로 나와 인간들을 학살하기 시작한다. 피폐할대로 피폐해진 덴마크 왕국에서는 왕이 엄청난 포상금을 걸고, 바다 건너 수많은 영웅들이 찾아 왔다 죽어나간다. 베오울프도 그 중 하나였다. 

1부는 베오울프와 그렌델의 싸움. 2부는 베오울프와 황금용의 싸움이다. 

베오울프라는 (아마도 북유럽에서는 꽤나 유명할) 영웅을 고뇌를 가진 인간의 모습으로 끌어내렸다는 것이 현대적이고 특이할만한 점인가본데, 베오울프를 찬양하는 신화를 접해본적이 없는 나로서는 비교대상이 없다. 

작품 속에서는 선과 악의 경계가 그렌델이 살던 그 늪 속처럼 모호하다. 그렌델은 악마인가? 보통, 악마에게 연민이 느껴지지는 않는다. 베오울프는 영웅인가? 영웅이지만, 동시에 하나의 인간이다.그리고, 죽어서는, 전투하다 죽은 전사가 그러듯이, 전투의 신들이 달리는 평원으로 당당하게 들어갈 것이다. 

 그렌델과 베오울프, 왕과 왕비, 그리고, 물마녀( 뭐라고 부를까.안젤리나 졸리가 맡은, 이 세상의 아름다움이 아닌 아름다움을 지닌 존재) 이 중에서 물마녀는 인간이나 괴물이나 마녀나 반신이나 뭐, 그런거 보다는 배경같은 존재이다. (영화에서는 다르겠지만서도) 그 나머지 주요등장인물들은 모두가 자신만의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이 책에서 쉽게 누군가를 미워하지도, 영웅시하지도 못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냐 2008-04-15 18: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헛참......입맛이 써지네요. 영화보단 책이 나았으려나. 이 영화가 CG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어색한 CG인의 연기가 몰입을 너무나 방해했어요. 졸리를 닮은 CG인은 미끈하고 매혹적이었으나 진짜 졸리만 못했고. 여튼, 하이드님이 책에서 느끼는 모호한 감정보단...계속, 아니 이걸 왜 100% CG영화로 했지? 애니메이션도 아닌게, 실사도 아닌게..라며 툴툴거린 기억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