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덤 스미스 구하기 - 개정판
조나단 B. 와이트 지음, 안진환 옮김 / 생각의나무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잠시 이 책을 미스테리/SF 로 분류하려다가 참았다. 처음부터 끝까지 경제학의 아버지인 애덤 스미스의 경구들로 이루어졌으니, 경제학 책이라고 해도 되겠지.

이야기는 자동차 수리공에 빙의된 애덤 스미스와  테러리스트에 쫓기며 논문을 준비하는 조교수의 이야기이다. 
중간중간 나오는 등장인물간의 사랑 이야기도, 애덤 스미스와 교수가 빅서와 요세미티를 캠핑하는 이야기도 재밌다. 이야기의 배경은 애덤 스미스라는 아무리 강조해도 모자랄만큼 경제학의 거두인 그의 가장 유명한 저서인 <국부론>과 덜 유명하지만, 애덤 스미스가 자신의 저서중 최고로 여겼다는 <도덕감정론>라고 해도 좋겠다.  그 중에서도 특히 잘 알려지지 않은 <도덕감정론>에 기초하여 <국부론>중에서도 원하는 부분만 뽑아내어 해석하는 현대의 경제학자들을 다그친다. 그니깐, 자동차 수리공인 해럴드를 통해서 말이다.

죽은 경제학자를 살려내어 그의 이야기를 듣는 것은 어찌보면 너무 억지스런 설정일지도 모르나, 저자는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하면서, 재미도 놓치지 않았다.

책을 읽다보면, 우리가 알고 있고, 우리가 배워 온 것에 위배되는 이야기들(주로 <도덕감정론>에서 발췌된)이 많이 나온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쳇바퀴를 돌리며, 돈을 버는 것이 목적이 되어 버린 삶이 옳은 것인가? 에 대해 묻고 있다.

조금 길지만 인용해본다면

신이 분노하여 야심(野心)을 불어넣은 한 빈자의 아들이 주위를 둘러보기 시작하고는 곧 부자들의 생활을 동경하게 된다. 아버지의 오두막이 자신의 거처로는 너무 비좁고 보잘 것 없다고 생각한 그는 호화로운 저택에서 좀더 편안한 삶을 살아야겠다고 생각한다. 그는 발로 걸어 다녀야 하는 사실에 불만을 느끼며 자기보다 높은 사람들이 마차를 타고 다니는 것을 보고는, 자기도 그런 마차를 타고 다닐 수 있다면 좀더 편안하게 이곳저곳을 돌아다닐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또 하인들로 이루어진 많은 종자(從子)들이 자신을 많은 수고로움으로부터 해방시켜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자신이 이 모든 것들을 얻게 되면 행복감을 느끼며 평온하게 살아갈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그는 이러한 행복에 관한 어렴풋한 공상에 사로잡히게 된다.

그러한 삶의 편리함을 얻기 위한 노력이 시작된 첫 해에, 아니 첫 달에, 그는 그러한 편리함의 결여로 인해 겪었을지도 모를 것보다 훨씬 더 큰 육체적 피로와 정신적 불안, 걱정들을 감수한다. 그는 인내를 요하는 어떤 직업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위해 뼈 빠지게 일하며 자신이 경멸하는 이들에게조차 알랑거리고 비위를 맞춘다. 그래서 그토록 바라 마지않던 물질적인 부를 획득한다. 하지만 아주 늙어서 삶을 마감할 때쯤이 되어 육체는 고통과 질병으로 쇠약해지고 그간 겪은 수많은 마음의 상처와 실망으 기억으로 마음이 쓰리고 괴로워지면, 그제야 부와 권세는 하찮은 효용만을 지닌 자질구레한 것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족집게 상자와 마찬가지로 번거롭기만 할 뿐 마음의 평정을 얻는 데는 아무런 쓸모가 없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한다.

애덤 스미스 <도덕감정론>中

 불행한 개인에 이러한 생각거리를 주었다면, 후반부에는 거대기업과 선진국의 양심과 책임에 대한 이야기이다. 돈은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라는 앞의 이야기보다 더욱더 허황하게 들리지만, 지금의 뉴스 속에 등장하는 거대 기업들의 행태를 보면, 어떤 형태이던 브레이크가 필요한 것은 분명하다. 저자는 그것을 양심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돈과 권력에 의해 움직이지 않고, 개개인의 양심과 성취감에 의해 움직이는 기업과 국가의 책임을 이야기한다.

"부와 명예를 위한 경주에서..., 그는 모든 경쟁자를 앞지르기 위해 모든 노력과 최선을 다해 열심히 달릴 것이다. 하지만 그가 경쟁자를 밀어 쓰러뜨린다면 관중의 참을성은 완전히 바닥나게 된다. 공정한 경기의 법칙을 위반하는 것이며 관중은 그것을 묵인할 수 없다. 그 위반자는 증오와 분노의 대상이 된다." 

애덤 스미스 <도덕감정론>中

여기서 경쟁자를 밀어뜨린게 누구고, 그를 증오하고 분노하는 자가 누군지는 너무나 분명하다.
자동차 수리공에 빙의된 애덤 스미스는 조교수를 동화시키고, 개인에서 기업, 국가까지의 역할에 대해 200년도 더 전의 저서의 말들을 생생하게 이야기한다.

자본주의의 흐름에 '양심'과 '공평하고 공정한 마음' '정의' '행복' 따위로 대항하기는 너무나 연약하지만, 자꾸 자꾸 이야기하다보면, 강물이 좋은 쪽으로 흐르는 날도 올 것이라는 희망을 가져야 하지 않겠는가.



*<도덕감정론>이 품절만 아니라면 사 볼텐데 아쉽다.
**좋은 내용의 책이 새로 옷 입고 나와서 좋다. 부록 또한 충실하다.
***275p - 289p  상급법워에서의 항소-> 상급법원에서의 항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