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의 공놀이 노래 시공사 장르문학 시리즈
요코미조 세이시 지음, 정명원 옮김 / 시공사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번째로 읽는 요코미조 세이시. 일단 요코미조 세이시니만큼 기본이상은 한다.(다작 작가에 대한 이 얼토당토않은 믿음이 언제 깨질지를 즐겁게 기다려본다.) 개인적으로는 <옥문도>-<혼징 살인사건>-<팔묘촌>-<악마의 공놀이 노래>순으로 재미있었고, 기억에 남는다. 옥문도, 팔묘촌에 이어, 이번엔 귀수촌이다. 정말로 일본에는 이렇게나 으시시한 이름의 마을들이 많은지 궁금해진다. 별로였던 점부터 후딱 집고 넘어가자면, 등장인물들이 많았고, 많은데다가, 별 개성이 없어서 꽤 오래 헷갈렸고, 범인이나 트릭이 좀 억지스러웠다는 생각이다. <악마의 공놀이 노래>라는 귀수촌에 전해내려오는 노래는 충분히 섬찟한, 요코미조 세이시다운 소재인건 분명하지만, 사건과의 연결은 이전편들에 비해 느슨했다는 생각이다.

이소카와 경부의 소개로 귀수촌으로 요양간 긴다이치는 20년도 더 전에 일어났던 미궁 사건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다. 그리고, 미궁에 빠졌던 사건과 연결된듯한 새로운 연쇄살인 사건들이 일어난다. 사건을, 시체를 부르는 긴다이치 답다.

<옥문도>,<팔묘촌>에 이어, 이 귀수촌 역시, 마을의 지주이자 대립하는 두 가문이 있고, 긴다이치와 이소카와 경부에게 옥문도를 떠올리게 하는 기괴하게 연출된 시체들이 있다. 아리따운 결혼 적령기의 처녀...

결말도 좀 어이없었는데, 훈훈한 결말이라고 하는 그 결말은 뭐랄까, 아마겟돈에서 아빠(브루스 윌리스)가 남자친구(벤 에플렉) 대신 죽고, 남자친구만 돌아왔더니, 딸래미가 얼굴에 함박웃음을 띠고 기뻐하더라는 이해 안 가는 결말을 봤을때와 비슷한 기분이었다. 슬퍼야 하는데, 그 슬픔이 훈훈함으로 이어지다니.

나쁜점만 줄줄이 썼는데, 좋은점은 뭐냐고?
재미있다. 긴다이치가 나오다. 으스스한 등장인물들과 시체들이 등장한다. 이거면 될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